[김선생의 시네레터] 이미지, 운동 그리고 서사의 힘

  • 문화
  • 영화/비디오

[김선생의 시네레터] 이미지, 운동 그리고 서사의 힘

- 영화 <알리타 : 배틀엔젤>

  • 승인 2019-02-21 13:57
  • 신문게재 2019-02-22 11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알리타
인간이 기계화됩니다. 채플린의 <모던타임즈>(1936)가 그렇습니다. 기계가 인간화됩니다. <터미네이터>(1984), <로보캅>(1987) 등이 그러합니다. 그러나 인간은 기계가 아니며, 기계 또한 인간이 아닙니다. 그것이 이들 영화의 주제이기도 합니다.

<알리타 : 배틀엔젤>은 인간과 기계의 경계를 넘습니다. 인간이 된 기계입니다. 영화는 이것을 이미지와 운동성, 그리고 서사의 힘으로 만들어냅니다. 우선 이미지. 기계 인간 혹은 <아바타>(2009) 등의 CG 캐릭터가 보여 온 정형화된 이미지를 깨뜨립니다. 알리타는 매우 개성적인 얼굴을 지닙니다. 큰 눈에 갸름한 얼굴, 약간 얇은 듯 나온 입술 등이 그렇습니다. 특이하게도 그녀는 얼굴은 온전히 사람이면서 몸은 기계입니다. 클로즈업 숏으로 보여주는 그녀의 눈, 입술, 표정은 인간으로서의 감정 변화가 예민하고 섬세하게 드러납니다. 관객들 역시 그녀의 감정에 몰입합니다.



알리타는 빼어난 운동성을 가졌습니다. 특수부대 여전사였던 그녀는 잃었던 기억을 운동을 통해 서서히 찾아갑니다. 모터볼 선수로 출전하는 장면, 스탠드바에서 보여주는 싸움 액션 장면은 그녀의 유연하면서도 역동적인 운동 능력을 확인하게 합니다. 강하기는 하지만 어쩐지 뻣뻣하고 둔한 운동성을 보여줬던 이전의 기계 인간 캐릭터와 확실히 다릅니다. 이는 한편으로 개성적 매력과 유연하면서 강렬한 능력을 동시에 원하는 현대 여성의 욕망을 투영합니다.

영화는 기계와 인간, 사람의 얼굴과 기계의 몸, 인간 남자와 기계 여자 등 이종의 특징들을 매끄럽게 결합합니다. 이를 위해 관객을 미래의 시간으로 데려갑니다. 그러나 미래의 인간 역시 우리와 같이 정서와 욕망, 관계 안에서의 투쟁과 갈등을 지닙니다. 딸을 잃은 아버지의 아
김선생 시네레터
픔, 자아의 각성과 정체성의 확인, 사랑과 이별, 계층 간의 대립과 충돌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이 작품은 미래 시대의 기계 인간이라는 낯선 소재를 친숙하게 형상화합니다. 또한 어린 소녀가 한 사람의 여성으로, 사회인으로 변화하는 성장 서사를 활용합니다. 이는 초능력을 발휘하는 맨 시리즈와도 다르고, 기계화된 인간의 모순, 인간이 되지 못하는 기계의 비애를 다룬 영화들과도 다릅니다. 우리는 이 영화에서 기계이되 인간으로서의 개성과 매력도 함께 지닌 여성 영웅을 만납니다.

- 김대중(영화평론가/영화학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4.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5. ‘수능 끝, 해방이다’
  1. 국외 입양인들, 세종서 모국 문화 체험 "색다른 감동"
  2.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3.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4.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5.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헤드라인 뉴스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났다. 수험생들은 이제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정시 지원전략을 세우고 12월 5일 발표되는 성적에 맞춰 대학·학과 선택을 최종 확정해야 한다. 특히 올해 정시는 수능 위주 전형 비중이 높고 수도권 주요 대학의 학생부 반영 방식 변화 등 변수가 있어 영역별 점수 활용 전략의 중요성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13일 제일학원에 따르면 수능 직후부터 성적 발표 전까지의 '가채점 기반 전략 설정'이 대입성공의 핵심 단계다. 수험생은 영역별 예상 등급을 기준으로 모집군별 지원 가능 대학을 먼저 판단해야..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