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 경자년 흰 쥐 이야기

  • 운세

[신년특집] 경자년 흰 쥐 이야기

  • 승인 2020-01-02 10:24
  • 신문게재 2020-01-02 12면
  • 김유진 기자김유진 기자
GettyImages-jv1193776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 문헌에 나오는 쥐에 대해 살펴보면, 쥐는 남극과 뉴질랜드 이외 지구의 전 지역에 살고 있는 설치류 동물로서, 포유류 가운데 가장 큰 목(目-Order)이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쥐는 집쥐로, 원래는 서남아시아가 원산이었으나 15~18세기경 해양문화의 발달과 함께 전 세계로 퍼져 나간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의 문헌에 쥐에 대한 기록이 처음 나오는 것은 신라 때 사금갑(謝琴匣) 이야기에서인데, 쥐의 예언으로 거문고 안에 숨어있던 내통자들을 잡아 나라의 위기를 막았다는 설화다. 보다 더 사실적인 기록으로는 삼국사기에 보면 혜공왕 때 강원도 치악현(현재의 원주)에서 8000마리에 이르는 쥐들이 이동하는 괴변이 있었는데, 그 해에 그 고을에 눈이 내리지 않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쥐를 소재로 한 미술품이나 생활용품들이 많이 있으나, 대개는 십이지신 가운데 하나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쥐가 신앙물로 등장한 것은 십이지신에 들면서부터라고 볼 수 있는데,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십이지 신앙에는 쥐가 맨 앞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쥐는 음양오행상 음과 수성에 들어 있으며 방위로는 정북 쪽을 의미하고 시간으로는 밤 11시부터 다음 날 새벽 1시까지에 해당한다. 쥐는 화산이나 지진, 또는 홍수나 산불 등 자연재해를 예고해 주는 영물로도 알려져 사람들은 쥐가 집안에서 갑자기 보이지 않으면 불길한 징조로 여겼고, 어부들은 배 안에 쥐가 보이지 않거나 쥐 울음소리가 들리면 불길하다 하여 출어를 삼갔다고 하며, 일부 지방에서는 배 안에 배서낭을 모시고 쥐들을 살게 했다.



우리 조상들은 새해 들어 첫 상자일에는 특히 근신하는 날로 여겨 모든 일을 조심했는데, 쥐가 무엇이든 잘 갉기 때문에 특히 이 날은 길쌈을 하지 않거나 의복도 짓지 않았다.

쥐는 다산의 상징으로서 궁중에서는 풍년을 기원하는 뜻으로 상자일에 곡식의 씨를 태워 비단 주머니에 넣어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했다. 또한 상자일에는 쥐불놀이도 행해졌는데 이 날 청소년들은 마을 부근의 논두렁을 태우면서 한해의 건강을 빌고 마을의 풍년을 기원했고, 이때 불기운이 세면 그 해에는 풍년이 든다 하여 밤새도록 쥐불놀이를 했다.

쥐는 다복의 상징이기도 해 당사주에서는 쥐를 자천귀라 하여 식복과 함께 다복한 운명을 타고난다고 했는데, 이는 쥐가 선천적으로 눈치가 빠르고, 어려운 여건에서도 끈질기게 살아남는 습성에서 나온 것이라 볼 수 있다.

쥐가 십이지의 첫 번째 동물로 정해지게 된 데에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옥황상제가 동물들에게 직위를 주고자 결심, 선발 기준을 고심하던 중 정월 초하룻날 제일 먼저 천상의 문에 도달한 동물부터 직위를 수여한다고 알렸다. 이 이야기를 전해 들은 동물들은 저마다 빨리 도착하기 위해 훈련을 했는데, 그 중에서도 소가 제일 열심히 했다. 쥐는 자기가 작고 미약해서 도저히 먼저 도달할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고 소의 등에 바짝 붙었다. 정월 초하루가 되어 동물들이 앞다투어 달려왔는데, 소가 제일 먼저 도착하려는 순간 소등에 붙어 따라온 쥐가 훌쩍 뛰어내리면서 제일 먼저 천상의 문을 통과해 십이지의 제일 첫 번째 띠 동물로 정해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김유진 기자·자료제공=춘강 구홍덕 박사

○춘강 구홍덕 박사는...

▲구박사인생클리닉 원장 ▲한국정통역학연구원장 ▲한국정통작명연구원장 ▲ 한국정통명리학회 이사장 ▲한국철학대학평생교육원장 ▲광주인력개발원 초빙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 동래구, 제3회 온천천 빛 축제 개최
  2. 김포시농기계임대사업소, 노후농기계 불용품 매각
  3.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4. 천안 벽산 블루밍 파크포레, 사업계획 승인 및 도급계약 모두 마쳐
  5. 상명대 간호학과, 나이팅게일 선서식 개최
  1. 한기대 STEP, '열정 가득' 온라인 서포터즈 3기 출범
  2. 천안시보건소, '생명존중 안심마을' 4곳 지정
  3. 나사렛대, 기아자동차 정주훈 상무 초청 '경영인의 날' 성료
  4. 충남창경센터, 'The Future with AX Forum' 개최
  5. 한기대, 충남경제정책 경연대회 우수상·장려상

헤드라인 뉴스


다시 만날, 첫 대전시청사… 복원‧보수설계 탄력 붙는다

다시 만날, 첫 대전시청사… 복원‧보수설계 탄력 붙는다

민선 8기 대전시를 대표하는 문화유산 복원·활용 프로젝트인 첫 대전시청사(옛 대전부청사)의 복원·보수 설계가 본격 착수된다. 23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첫 대전시청사의 설계용역 제안 공모 심사에서 '시공회당(時空會堂, 시간의 흔적을 공간으로 빚다)'로 당선된 ㈜아인그룹건축사무소·제이아이건축사사무소(공동응모)와 계약을 체결했다. '시공회당'은 섬세한 보존 전략과 함께 현재와 미래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계획, 공간 분석 및 원형 복원을 위한 기술적 검토의 완성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제이아이건축사사무소의 김지현 소장은 프랑스..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가 나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민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말부터 전국에서 누리호 관련 행사가 진행되며 4차 발사 성공을 기원하는 분위기가 고양되고 있다. 23일 우주항공청·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27일 오전 12시 54분에서 1시 1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누리호 4차 발사가 예정돼 있다. 발사 예비 기간은 이날부터 12월 4일까지며 이 기간 중 누리호 4차 발사가 진행된다. 이번 발사는 기존과 달리 늦은 시간 진행된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의 궤도 진입을 고려한 시간이다...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고환율에 계속되는 '고유가 행진'

국제유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국내 기름값은 고유가 행진을 이어가 주목된다. 이는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고환율로 인한 원유 수입 비용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23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주간 평균 판매가는 지난주보다 ℓ당 25.80원 오른 1729.72원을 기록했다. 경유는 38.54원 오른 1636.57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은 4주 연속 동반 상승했다. 대전·세종·충남지역 내 기름값도 10월 넷째 주를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