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육개장과 연대의식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육개장과 연대의식

  • 승인 2020-05-20 18:12
  • 신문게재 2020-05-21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00520_100535063
대전역 앞 인쇄골목엔 이름도 발랄한 '명랑식당'이 있다. 메뉴는 육개장 하나다. 부드러운 바람이 살랑이는 5월 초, 육개장을 먹으러 갔다. 재작년에 처음 가 보고 이번이 두 번째다. 와글와글한 시내 지하상가를 벗어나 인쇄골목에 들어서자 딴 세상이었다. 한낮의 햇살이 내리꽂는 거리는 한산했다. 인쇄소의 기계 소리만이 적막감을 깼다. 오랜만이어서 식당 위치가 헷갈려 연신 두리번거렸다.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물어물어 겨우 찾아갔을 땐 등에 땀이 맺혔다. 오래된 골목 구석에 조붓하게 자리잡은 식당은 40년이 됐다. 1대 석기숙 할머니는 물러나고 지금은 사람 좋아 보이는 아들이 운영한다. 세월의 더께가 묻어나는 허름한 식당이지만 안은 먼지하나 없이 깨끗하다. 노란 장판이 깔린 방바닥에 털썩 앉아 시원한 물을 마시고 나니 비로소 더위가 가셨다.

이 집 육개장은 단순하다. 고사리, 근대, 숙주나물은 없고 오직 대파만 잔뜩 들어갔다. 결 따라 쪽쪽 찢은 소고기도 제법 많다. 보통의 육개장은 매워서 기침과 콧물을 훌쩍이며 먹어야 한다. 하지만 여기 육개장은 대파의 달큰함 때문인지 자극적이지 않다. 모름지기 밥집의 생명은 밥이다. 술밥처럼 고슬고슬한 쌀밥은 국물에 말아도 퍼지지 않아 씹는 맛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 점심시간이 꽤 지났는데도 손님들이 꾸준히 들어왔다. 혼밥 먹는 사람도 몇명 눈에 띈다. 코로나19 때문에 적당히 떨어져 앉아 말없이 뜨끈한 육개장만 먹는 풍경이 새삼 낯설게 다가왔다.



육개장 한 그릇 싹 비워 빵빵해진 배를 두드리며 한가롭게 골목을 걸었다. 옛 시절 번성했던 도심은 이젠 찾는 이 없는 쓸쓸한 고대 도시의 흔적을 보는 것 같았다. 요란한 중국집 간판, 이름도 어여쁜 장미여인숙, 약 방앗간의 오자투성이 간판은 절로 미소를 짓게 했다. 한때 유명했던 한밭식당도 아직 있었다. 위풍당당한 극장식 카바레는 지금도 영업을 할까? 가게들 앞에는 하나같이 화분이 옹기종기 모여 푸르른 생명을 이어 주었다. 아, 아카데미 극장! 신문사 입사한 그 해 여기서 입사 동기들과 '원초적 본능'을 봤었지. 꽉 찬 좌석에서 뿜어내는 숨 막힐 듯한 열기가 대단했는데, 화려했던 명성은 온데간데 없고 쓰레기만 뒹구는 처지가 됐다. 추억이 필름처럼 빠르게 돌아가면서 가슴이 아려왔다.

어느 골목에 들어서자 서너 명의 할머니들이 길 가 의자에 앉아 무료함을 달래고 있었다. 나는 반가움에 인사했다. 그들은 쏘는 눈빛으로 나를 위아래로 훑어보며 한마디씩 던졌다. "뭣 하러 왔어? 이런 일에 관심 있어?", "여긴 함부로 다니면 안돼. 여자 있는 거리야." 말로만 듣던 홍등가였다. 할머니들은 성매매 중매인이었다. 그 누구도 자신의 앞날을 예측하지 못한다. 생존의 사각지대에 놓인 거리의 여자들. 과연 우리는 인간다운 세상을 살고 있을까. IMF는 재벌과 정치권력이 결탁을 공고히 하는 기회가 됐고 가난한 사람들은 벼랑으로 내몰았다.



음식은 부자에게 취미의 대상일 수도 있지만 없는 사람들에겐 생존의 문제다. 육개장은 서민의 음식이다. 적은 양의 고기와 온갖 채소에 물을 넉넉히 부어 푹 끓이면 여러 사람이 배불리 먹을 수 있다. 서양의 스튜도 같은 맥락이다. 거기도 가난한 이들이 존재했을 테니 말이다. 육개장은 장례식장에서도 단골 메뉴다. 이 음식은 저승길 떠나는 망자가 이승의 사람들에게 마지막으로 베푸는 호의 아닐까. 인간에게 먹고 사는 것만큼 중요한 건 없다. 생사가 달린 문제이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경제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수치로 보여주는 실업대란이 뉴스를 장식한다. 또 얼마나 많은 사람이 고통을 견뎌야 할까. 지금 우리는 고기 몇 점에 갖은 푸성귀 넣어 한 솥 끓인 육개장을 나눠먹는 연대가 필요하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1.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2.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3.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4.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내일센터, '대전 기업 밋업데이' 개최
  5. 대청호 가을녹조도 하향추세…조류경보 '관심'으로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