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뉴얼충청]충남권역 의료계 '제4기 상급종합병원' 발표 앞두고 촉각 곤두

[리뉴얼충청]충남권역 의료계 '제4기 상급종합병원' 발표 앞두고 촉각 곤두

지역 '소요병상수' 줄면서 '충남 홀대론' 불거져 우려 목소리
수도권 환자 3.5명 대전 환자... 의료전달체계 개선 해야

  • 승인 2020-12-13 18:29
  • 수정 2020-12-14 08:31
  • 신문게재 2020-12-14 1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commonUFEQ3GN8
수도권 환자유출이 심각한 충남권역 의료계가 '제4기 상급종합병원' 발표를 앞두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진료권역별 상급종합병원 소요병상수'가 지난 3주기 때보다 줄면서 '충남 홀대론'이 불거지는 상황에서 향후 결과에 이목이 쏠린다.



지정과 탈락 여부 등에 따라 지역 의료전달체계에 상당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에 투명하고 공정한 선정을 기대하고 있다.

13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제4기 상급종합병원(2021~2023년)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충남권역에서는 기존 운영 중인 충남대학교병원, 단국대학교병원,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을 비롯해 신규 진입을 노리는 건양대학교병원 4곳이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총 43곳을 선정하는 가운데 51곳이 신청서를 제출해 8곳은 고배를 마신다.



신청 병원 중 어느 곳이 새롭게 진입하고 어느 곳이 탈락할지에 관심을 모은다.

이런 가운데 권역 내 잔여 병상 수를 전국으로 상대평가하는 현재 방식은 서울권역에 상급병원 지정 쏠림이 계속돼 환자와 의료인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지속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실제 복지부가 발표한 상급종합병원 소요병상수를 보면 전국 4만 6414개 병상으로 지난 3주기 4만 5458개 병상보다 956병상 늘었지만, 오히려 충남권은 65개가 줄었다. 수도권 쏠림이 심각한 경기도 등은 1141개 병상이 증가했다.

지역별 의료격차가 더욱 커지고 의료서비스 공백이 심화 돼 결국 의료전달체계 붕괴 현상을 정부가 주도하고 있다는 게 의료계의 통일된 목소리다.

그 어느 지역보다 충남권역 상급병원 지정은 절실하다. 특히 대전은 중증환자들의 서울권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조사한 '2018 지역별 의료 이용 통계연보'를 보면, 서울 의료기관 환자 35.6%가 대전에서 온 환자다. 세종시를 제외한 7대 특·광역시 중 가장 높다.

2019년 보건복지부 연구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 체계 개선 연구 최종보고서(연구책임자 서울의대 김윤 교수)에서도 대전시에 최소 2~3개 상급종합병원이 필요하다는 보고서가 나올 정도다.

충남권역 상급종합병원은 수년째 3곳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 1기(2012~2014년) 지정에서 충남대병원·을지대병원·단국대병원·순천향대천안병원 4곳이 역할을 해왔지만, 2기(2015~2017년)에서 을지대병원이 탈락하면서 6년째 제자리다.

이번 4기 상급종합병원 지정은 대전 의료체계를 바꿀 기회로 여겨진다.

차별화된 각종 정부 지원을 통해 병원 규모와 위상이 커지는 만큼 의료전달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병원 설립 후 처음으로 상급종합병원 진입을 노리는 건양대병원에 기대를 거는 이유다.

건양대병원은 내년 상반기 개원을 앞둔 제2 병원(지하 4층, 지상 9층)에 소아토탈케어센터 구축과 500병상 등을 운영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대전시의사회 김영일 회장은 "지역 의료계가 안고 있는 가장 큰 현안 중 하나가 지역민들의 수도권 원정진료다. 상급종합병원 역할이 중요한데 지방분권과 지방의료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당연히 대전 지정이 필요하다"면서 "다만, 정치적 논리로 가다 보니 울산은 이미 정해진 분위기에 있다. 환자들을 위해서라도 실질적으로 필요한 지역에 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목소리를 냈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대전만 없는 `공립형 대안학교`… 학교설립 공약 끝내 실패

대전만 없는 '공립형 대안학교'… 학교설립 공약 끝내 실패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10여년 숙원이었던 공립형 대안학교 설립 공약이 결국 이행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지 확보에 오랜 시간을 소모했지만 끝내 추진에 실패하면서 차기 교육감의 과제로 넘어가게 됐다. 20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올 초까지 추진했던 유성구 복용동 설립이 결국 무산됐다. 당초 AI 특성화 대안학교를 설립하려던 계획이었지만 교육부가 1월 중앙투자심사에서 대안교육 중심의 학교 설립을 주문하면서 제동을 걸었다. 대안학교 성격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자 교육청은 주민 설득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다른 부지를 알아보겠다고 물러..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