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보문산 순환숲길 트레킹을 하다보면

  • 문화
  • 문예공론

[문예공론] 보문산 순환숲길 트레킹을 하다보면

나영희/ 수필가

  • 승인 2021-02-16 09:38
  • 수정 2021-02-16 10:02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c67f6211ea359c16f68c9e7222bb252418f26aaf
보문산 망루
보문산은 대전 중심부의 남쪽에 위치한 산으로 중구의 대사동 외 8개 동에 걸쳐 있으며 1965년에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보물이 묻혀있다고 보물산이라고 부르다가 보문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보문산에는 행복 숲길의 순환형 둘레 숲길이 있는데 보문산 주변부를 빙 둘러 기존의 도로와 연계되도록 14.43km 임도로 조성했는데 2010년에 추진되어 2016년 6월에 목재 체험장과 함께 개통식을 했다.



처음의 목적은 혹시 산불이 났을 때 차나 헬리콥터를 위해 길이 필요하고 또 산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고 차량이 다닐 길이 필요해서 길을 조성한 것이다. 그러나 걷기 좋은 길이 만들어지다 보니 그 길이 산을 관리만 하기 위해서 이용하기보다는 산림 휴양 써비스로 시민들에게 제공을 하게 된 것이다.

보문산에는 망향탑, 숲속 공연장, 목재 체험장, 보문산성, 주봉인 시루봉이 있고 숲속 놀이터가 다른 곳과 차별 되게 잘 정비된 사정 공원과 축구장, 롤로 스키장, 식물원도 있다. 보문산은 평일에도 사람들이 많지만, 토요일과 일요일은 옷깃이 스칠 정도로 많은 사람들로 붐빈다.



코로나19 때문에 전국의 산들은 늘 인파가 넘쳐나고, 우리네 건강은 맑은 공기와 튼튼해진 다리로 스트레스를 조금이나마 풀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는 것이다.

내가 보문산 순환형 둘레길을 등산할 때는 청년광장에 주차를 하고, 과례정 쪽으로 직진을 해 도로가 막힌 곳에서 유턴한 다음 송학사까지 가서 다시 되돌아오는 길을 이용한다. 종종 시루봉과 보문산성도 올라간다.

그러다 하루는 보문산 전체 길을 돌아보기로 했다. 예전에 그 길이 공사 중이라 "들어가지 마시오" 글귀를 봤기에 한 번도 그 길을 갈 생각을 하지 않았었다. 그러나 오늘은 큰마음 먹고 가 보지 않은 길을 딸 가족과 함께 갔다. 처음 가는 길은 너무나 멀었다. 그러나 휴식공간으로 의자가 많이 설치되어 있어서 좋았고, 높낮이가 없이 평지 길로 넓은 도로가 비포장도로라 딱딱한 아스팔트보다 훨씬 걷기 좋았다.

하늘이 푸르른 날은 고개를 들어 하늘을 쳐다보고, 나무를 오르내리는 다람쥐도 보아가며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에 행복했다. 살기 좋은 우리나라임에 틀림 없다. 순환형 행복 숲길을 향할 때는 청년광장에 주차를 하고, 왼쪽 망향탑 쪽으로 향한다. 시작을 오른쪽으로 가는 것보다 왼쪽으로 가는 것이 덜 힘들다. 차량 통행금지 사이로 들어가면 비포장도로가 시작 된다.

끝없이 이어진 비포장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오월드 방향, 버스종점 방향 끝에서 우측을 향해 과례정 쪽으로 걸어간다. 보문산 둘레길을 한 바퀴 빙 도는 것인데 빠른 걸음으로 가면 3시간 30분 정도 걸리고, 쉬면서 편한 걸음으로 가면 4시간 30분~5시간 정도 걸린다.

그런데 문제는 임도로 조성된 길이 3시간 30분~4시간 정도 걸리는데 화장실이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처음 목적이 둘레길이 아니었기에 화장실 설치를 하지 않은 것은 당연한 것이겠지만 개통식도 하고 이용하는 시민이 꽤나 많은데 지금까지 화장실을 설치를 안 한 것은 이해하기가 힘들다.

높은 정상까지 물을 끌어올려야 하는 시설이나 여러 가지 사정이 있어서 못했을 수가 있겠으나 이제는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앞으로 더 많은 사람이 이용할 수 있으니 중간지점 한 곳이라도 화장실 설치를 공원 관리사무소나 대전시에서 관심을 가지셔서 설치를 하셔야 용변이 급한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나도 1주~2주에 한 번은 순환형 행복 숲길을 걷는데 화장실 문제는 시급한 상황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용고객이 젊은 층도 있지만 60% 이상이 50대가 넘은 분들이 이 길을 걷고 있기 때문이다. 중간중간에서 휴식을 취하며 간식을 먹는 광경은 이 길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일이다. 긴 시간을 걷기만 해야 하기 때문에 힘들기도 하고 체력을 보충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루빨리 이 길에 하나의 화장실이 설치되어 용변을 참느라 힘들지 않은 편안한 길이 되었으며 하는 바램이다.

나영희/ 수필가

9d4468a3293009275f4fe8980032282e3ae2bd3f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3.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4.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5.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1. 세종시 어린이들의 '가족 사랑' 그림...최종 수상자는
  2. 초록우산 박미애 본부장, '시낭송 상금' 100만 원 기부 귀감
  3. 한남대, 2025 산학프로젝트 챌린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
  4. 건보공단, 미혼 한부모가정 위한 따뜻한 지원 눈길
  5. 충남대, 중국약과대학과 협약…바이오 재료·약학 분야 공동 연구 추진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