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64강 공자산법(孔子算法)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64강 공자산법(孔子算法)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03-30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64강 孔子算法(공자산법) : 공자의 계산법

글 자 : 孔(구멍 공 / 성 공) 子(아들 자 / 존칭 자) 算(셀 산) 法(법 법)

출 처 : 중국신화전설



계산은 정확하고 공정해야 한다. 그러나 때로는 엉뚱한 계산이 맞는 경우도 있다.



유머로 사과 다섯 개가 있는데 두 개를 먹으면 몇 개가 남는가? 라는 질문에 모두 세 개라고 대답한다. 산술적 계산으로 정답이다. 그러나 필자는 두 개가 남는다고 한다. 왜? 먹는 것이 남는 것이니까! 두 개 먹었으니 두 개가 남는 것이다.

공자의 수(首)제자인 안회(顔回)는 배움을 좋아하고 성품도 훌륭해 공자가 가장 기대하고 있는 제자였다. 그가 일찍 죽자 공자는 통곡을 하였다고 논어에 기록되어있다.

안회가 공자의 심부름으로 시장에 들렸다. 그런데 한 포목점(布木店) 앞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어 무슨 일인가 해서 가보니 가게주인과 손님이 시비가 붙은 것이다.

포목을 사러 온 손님이 큰 소리로 주인에게 "3X8은 분명히 23인데, 당신이 왜 나한테 24전(錢)을 요구하느냐 말이야~!" 안회는 이 말을 듣자마자 그 사람에게 먼저 정중히 인사를 한 후, "3X8은 분명히 24인데 어째서 23입니까? 당신이 잘못 계산을 한 것입니다."

그러자 포목을 사러 온 사람이 안회에게 화를 내며 "누가 당신더러 따지라고 했냐! 도리를 평가하려거든 공자님을 찾아야지! 맞고 틀림은 공자님만이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가 있다!" 하며 막무가내였다.

안회는 "좋습니다. 갑시다. 만약 공자께서 당신이 틀렸다고 하시면 어떻게 할 건가요?" 그러자 그는 "그러면 내 목을 내 놓을 것이다. 그런데 그대는?" 안회가 "제가 틀리면 관(冠)을 내 놓겠습니다." 두 사람이 내기를 걸고 공자를 찾아갔다.

공자는 두 사람의 말을 다 듣고 나서 안회에게 웃으면서 말씀하셨다.

"네가 졌으니 이 사람에게 관을 벗어 내어 주거라!" 안회는 순순히 관을 벗어 포목을 사러 온 사람에게 주어 보냈다. 그 사람은 의기양양하게 관을 받고 돌아갔다.

공자의 판결에 대해 겉으로는 아무런 표현이 없었지만 안회는 속으로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그는 자기 스승이 이제 너무 늙었고 우매(愚昧)하니 더 이상 배울 게 없다고 생각했다. 다음 날, 안회는 공자에게 집안일을 핑계로 잠시 고향에 다녀오겠다는 말씀을 드렸다. 공자는 아무 얘기도 하지 않고 고개를 끄덕이면서 허락하였다.

떠나기 직전에 안회는 공자에게 작별인사를 하러갔다.

공자는 일을 처리하고 즉시 돌아 올 것을 당부하면서 안회에게 '천년고수막존신 살인불명물동수(千年古樹莫存身 殺人不明勿動手)'라고 두 마디의 글을 써 주었다. 안회는 작별인사를 한 후 고향집을 향해 달려갔다. 그런데 도중에 갑자기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소나기를 만나 비를 피하려고 급한 김에 길옆 오래된 고목나무 밑으로 뛰어들어 가려고 했다. 순간 스승의 첫 당부 말씀인 '千年古樹莫存身 : 천년 묵은 나무에 몸을 숨기지 말라'는 말씀이 떠올랐다. 바로 그 순간 번쩍하면서 그 고목이 벼락에 맞아 산산 조각이 되어 버린 것이다.

안회는 놀라움을 금치 못하고. 한참을 달려 고향집에 도착하니. 이미 밤이 깊었다. 그는 집 안으로 들어가 조용히 보검으로 아내가 자고 있는 내실의 문고리를 풀었다. 컴컴한 침실 안에서 손으로 천천히 더듬더듬 만져보았다. 아니 그런데 침대 위에 두 사람이 자고 있는 것이 아닌가! 안회는 순간 화가 치밀어 올라와 검을 뽑아 내리 치려는 순간 또 다시 스승님의 두 번째 당부 말씀이 생각났다. '殺人不明勿動手 : 분명치 않고서는 함부로 살인 하지마라.' 얼른 촛불을 켜보니 침대 위에 한쪽은 아내이고 또 한쪽은 자신의 누이동생이 자고 있었다.

안회는 다음 날, 날이 밝기 무섭게 되돌아가 스승님께 무릎을 꿇었다.

"스승님의 당부 말씀 덕분에 저와 제 아내와 누이동생의 목숨을 살렸습니다. 어떻게 사전에 그런 일이 일어날 것을 알고 계셨습니까?"라고 물으니 공자는"어제 날씨가 건조하고 무더워서 다분히 천둥번개에 비가 내릴 수 있을 것이고, 너는 분개한 마음에 또한 보검을 차고 떠나기에 그런 상황을 미리 예측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공자는 이어서 "사실 나는 이미 다 알고 있었네. 자네가 집에 돌아간다는 것은 그저 핑계였고, 내가 포목을 사러 온 사람에게 그런 평결을 내린 것에 대해 너는 내가 너무 늙어서 사리 판단이 분명치 못하다고 여겨 더 이상 배우고 싶지 않기 때문에 그런 것이 아니냐? 한번 잘 생각해보아라. 내가 3X8= 23 이 맞는다고 하면 너는 지게 되어 그저 관하나 내 준 것뿐이다. 하지만 만약에 내가 3X8= 24가 맞는다고 했다면 그 사람은 목숨 하나를 내 놓아야 하지 않겠는가? 관이 더 중요한가? 아니면 사람 목숨이 더 중요한가?" 안회는 비로소 이치를 깨닫게 되어 스승님께 엎드려 예(禮)를 올렸다.

"부끄럽기 짝이 없습니다. 스승님은 대의(大義)를 중요시하고 보잘 것 없는 작은 시비(是非)를 무시하는 그 도량과 지혜에 탄복할 따름입니다."

그 이후부터 공자가 가는 곳마다 안회는 그의 스승 곁을 떠난 적이 없었다고 한다.

공자는 과연 인류의 큰 스승이시다. 생명을 살리는 교훈을 가르친 위대한 큰 스승이신 것이다.

한결같이 부지런하면 천하에 어려울 것이 없다.(一勤天下無難事/일근천하무난사)

백 번 참으면 집안에 큰 화평이 있다.(百忍堂中有泰和/백인당중유태화)

남송(南宋)때 주희(朱子)와 당(唐)나라 장공예(張公藝)고사에서 나온 말 명심해야겠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세계백화점 앞 10중 추돌사고… 16명 사상
  2. 지역 9개 대학 한자리에… 대전 유학생한마음대회 개최
  3.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4. "광역교통망 수도권 빨대 효과 경계…지역주도 시급"
  5. 태권도 무덕관 창립 80주년 기념식
  1. [건강]대전충남 암 사망자 3위 '대장암' 침묵의 발병 예방하려면…
  2. 대청호 녹조 가을철 더 매섭다…기상이변 직접 영향권 분석
  3. [대입+] 2026 수능도 ‘미적분·언어와 매체’ 유리… 5년째 선택과목 유불리 여전
  4. 대전시의회 행정사무감사 돌입…한화볼파크 계약 행정 실효성 부족 도마 위
  5. [편집국에서]배제의 공간과 텅빈 객석으로 포위된 세월호

헤드라인 뉴스


대청호 녹조 가을철 더 매섭다…기상이변 직접 영향권 분석

대청호 녹조 가을철 더 매섭다…기상이변 직접 영향권 분석

대청호에 녹조가 사라지지 않고 추동 수역에서는 11월 현재 오히려 한여름 수준의 '경계'단계가 유지 중으로, 지난 10년간 녹조 발생이 갈수록 악화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정체에 가깝게 오랫동안 정체하는 대청호가 다른 상수원보다 수온상승과 가을 폭우 등의 기상이변에 더욱 취약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11월 7일 금강유역환경청과 한국수자원공사는 대청호 문의수역에서 이뤄지는 녹조 제거 활동을 공개하고 녹조발생 저감에 지역사회 협조를 요청했다. 이곳 문의수역은 7월 31일 조류경보제 중 관심 단계가 처음 발령됐고, 8월 7일 회남수역까..

강훈식 실장 ‘지자체 관사 증가·무분별한 지방공항 추진’ 제동
강훈식 실장 ‘지자체 관사 증가·무분별한 지방공항 추진’ 제동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10일 지방자치단체 관사 증가와 무분별한 지방공항 사업 추진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강 실장이 이날 오전 대통령실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지난주 종료된 국정감사와 관련해 국민 삶의 질을 개선하고 예산을 절감하는 데 기여할 정책 제안은 조속히 수용해주길 지시했다”고 안귀령 부대변인이 서명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강 실장은 농작업 도중 숨진 농업인이 전체 산업재해 사망자의 3배가 넘는다는 점과 최근 5년간 지자체 관사가 140곳 이상이 늘고 1000억원이 넘는 세금이 사용됐다는 두 가지 사안을 예시로..

`AI워싱` 과장 광고 도마 위...소비자 혼란과 기업 신뢰성 위협
'AI워싱' 과장 광고 도마 위...소비자 혼란과 기업 신뢰성 위협

최근 AI 기술 발전에 따른 AI 기능 탑재 가전·전자제품이 증가하면서, 일부 기업이 AI 기능을 과장 광고하는 'AI워싱' 행위가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이러한 AI워싱 의심 사례를 모니터링하고, 소비자 인식조사를 통해 그 결과를 발표했다. AI 기술이 적용되지 않았거나 그 수준이 미미함에도 불구하고 AI 기능을 과장 광고하는 사례를 조사했다. 그 결과 국내 주요 오픈마켓에서 판매 중인 가전·전자제품 중 20건의 AI워싱 의심 사례를 발견했다. 이들 사례는 대부분 AI 기술로 보기 어려운 단순 센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수험생 여러분의 꿈을 응원합니다’

  •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 ‘황톳길 밟으며 가을을 걷다’…2025 계족산 황톳길 걷기대회 성료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