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에너지 전환시대, 광물자원 수요의 향방은?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에너지 전환시대, 광물자원 수요의 향방은?

이재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 승인 2021-04-15 16:33
  • 수정 2021-04-15 17:04
  • 신문게재 2021-04-16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이재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장
이재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올해 2월 우리나라 대표적인 자동차 기업에서 새롭게 내놓은 전기차의 첫날 계약 대수가 2만 2760대를 기록, 국내 완성차 모델과 전기차 모델을 통틀어 역대 최다 사전계약 기록(첫날)을 경신했다는 기사가 발표됐다. 지난해 국내 전기차 판매 비중이 약 2.5%인 상황에서 이번 판매계약은 전기차 대중화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으로 관련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때문일까? 전기차 배터리의 필수 소재인 리튬 가격이 크게 올라 국내 자원개발 기업에서 2018년 약 3000억 원에 인수한 아르헨티나의 리튬 염호(鹽湖)의 가치가 100배 수준인 3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분석이 보도됐다.



앞서 소개한 내용은 공통적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화석 연료를 줄이고자 전기차 공급을 확대하는 에너지 전환시대의 특징을 보여준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배터리 기술과 함께 풍력·태양광 등의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탈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앞다퉈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와 전기차의 보급 확대는 아주 많은 양의 자원을 필요로 하는 광물 집약적 기술이기에 자연스레 새로운 광물자원에 대한 수요를 급증시켰다. 그렇다면 신재생에너지의 대표적인 풍력, 태양광 에너지, 그리고 전기차 배터리에는 어떠한 광물이 얼마나 쓰일까?

에너지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는 풍력 기술은 2025년까지 300m 높이의 풍력 터빈으로 15MW의 전기를 생산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것은 약 2만 가구 규모의 작은 마을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그러나 에너지 생산 대비 광물의 수요도 크게 늘어 2010년부터 사용되고 있는 150m 높이의 3MW 싱글 터빈에만 구리 4.7t, 철강 335t, 콘크리트 1200t, 희토류 2t, 알루미늄 3t이 쓰인다. 2017년 전 세계 풍력발전 설비용량은 515GW이고 2023년에는 63% 증가한 839GW로 예측하고 있어 광물수요 또한 그만큼 늘어날 전망이다.



2017년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54.5%인 94.5GW를 태양광이 담당하고 있는데, 2023년에는 이 용량이 1테라와트(1000GW)까지 증가해 태양광이 그중 575GW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태양광 전지에는 폴리머, 알루미늄, 실리콘, 구리, 은, 주석, 갈륨, 텔루륨 등이 필요하다. 은의 경우 태양광 전지에서 차지하는 비중(<0.1%)은 적지만 전 세계 은 수요의 7%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크다.

이제 집과 자동차는 물론 우리 일상 장치의 모든 것들에서 배터리는 필수품이 됐다. 전기차에서 전력망(Power Grid)에 이르기까지 배터리 기술은 어디에나 쓰일 것이며 앞으로 지금보다 많은 양의 원료, 즉 광물을 필요로 할 것이다. 대표적인 리튬이온전지의 경우, 3대 구성요소인 음극/양극/전해질에 리튬, 니켈, 코발트와 같은 핵심 광물자원이 쓰인다. 에너지 기술 5대 광물로 꼽히는 리튬, 코발트, 흑연, 인듐, 바나듐은 2017년 생산량 대비 2050년 각각 965%, 585%, 383%, 241%, 173%의 폭발적인 수요량이 예측돼, 향후 에너지 전환 시대를 주도할 핵심 광물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일본의 수출규제를 계기로 부품·장비와 함께 소재·자원 확보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실감했다. 일본은 2020년 3월 '신국제자원전략'에 이은 올해 3월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광물자원정책'을 발표하며 국가적 차원에서 광물자원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자원빈국인 우리나라로서는 미증유의 광물수요에 대비한 특단의 확보대책이 절실하다. 다행히도 많은 정책연구를 통해 답은 나와 있다. 단기적인 공급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비축이 필요하고, 해외자원개발을 통한 중장기적인 대응이 중요하다. 더불어 천연자원이 생산되지 않는 환경에서 기 확보된 자원을 재활용해 환경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도시광산의 활성화도 필요하다. 에너지 전환 뉴노멀시대다. 더 늦기 전에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수립되고 실천되기를 기대해본다. 이재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래전략연구센터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2.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3.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4.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5. <인사>대전시
  1.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2.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5. [한성일이 만난 사람]김용교 전 아산시 부시장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