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 대상으로 철도 유휴부지 활용방안 공모 중인데 대전은 무소식

  • 경제/과학
  • 공사·공단

전국 지자체 대상으로 철도 유휴부지 활용방안 공모 중인데 대전은 무소식

국가철도공단, 이달 말까지 전국 지자체 대상 철도 유휴부지 활용 제안서 접수 받아
대전에는 철도 유휴부지 231필지 존재…그러나 공모 준비, 활용 계획안은 전혀 없어

  • 승인 2021-05-03 17:08
  • 신문게재 2021-05-04 3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2019030401000291600009601
대전시가 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사업에 손을 놓고 있다.

국가철도공단이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철도 유휴부지 활용안 공모를 진행하고 있으나, 대전은 철도 유휴부지 현황 파악조차 하지 않고 있다.



공단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철도 유휴부지 활용 사업 제한 공보를 시행해 이달 말까지 제안서를 받을 계획이다. 접수된 제안서는 실무평가단 사전검토, 현지조사 등 심사를 거쳐 7월께 채택 여부를 결정한다.

철도 유휴부지는 철도 노선을 폐지하거나, 철도 건설 사업으로 인해 철도시설을 이전해 더 이상 철도를 운행하지 않는 곳이다. 이 같은 철도 유휴부지는 전국 지자체에서 철길 숲, 자전거길, 공원 등 주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하고 있다.



하지만 대전의 경우 경부선과 호남선이 지나는 도시이지만, 철도 유휴부지 활용 사업에는 무관심한 모양새다. 공모를 시작했지만 별도로 준비하고 있는 상황도 아닌 데다, 마땅한 부지가 없다고 얘기하고 있다.

대전에는 옛 경부선 등 철도 유휴부지 231필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호남선과 경부선 모두 관련된 유휴부지가 각 자치구마다 분포해 있다. 가장 많이 집중된 곳은 168필지가 있는 대덕구이며, 동구와 서구가 각각 24필지, 중구 14필지, 유성구 1필지 등이다. 현재는 대다수는 일부 주민들이 농경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 중 6필지(동구 4필지, 중구 1필지, 서구 1필지)만 미사용 중이다.

대전시는 유휴부지를 직접 관리하지 않고 있고, 관광산업 측면에서 특정 부지를 이용할만한 곳은 없다고 설명한다.

또한 최근 대전 구청장협의회에서도 언급된 대전선 관련 활용에 대해 검토를 했으나, 폐선이 불가하다는 운영자 측 입장으로 이조차도 어렵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대전시 관계자는 "우선 대전선 관련해 폐선이 가능하다면 레일바이크, 쉼터 공원 조성 등이 가능하도록 활용 방안을 알아보았으나, 폐선이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아 이는 어렵게 됐다"며 "이후 다른 철도 유휴부지와 관련해서는 특정하게 관광 산업 쪽으로 활용할 수 있을 만한 곳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김소희 기자 shk329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5.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1.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