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70강 초지일관(初志一貫)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70강 초지일관(初志一貫)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1-05-11 10:56
  • 수정 2021-05-11 10:57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 70강 初志一貫(초지일관) : 처음 세운 뜻을 끝까지 밀고 나감

글 자 : 初(처음 초) 志(뜻 지) 一(하나 일/ 오로지 일) 貫(꿸 관)로 구성되어 있다.

의미는 처음에 가졌던 마음을 끝까지 잃지 않음을 말한다. 그리고 분명한 목표를 세우고 인내와 집중과 노력으로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목표를 달성하는 사람을 비유하고 있다.

양산 통도사에서 가장 높은 산 내의 암자인 백운암에 홍안의 젊은 스님이 홀로 경학(經學)을 공부하고 있었다. 장차 훌륭한 강백(講伯)이 되기를 소원한 이 스님은 아침저녁 예불을 통해 자신의 염원을 부처님께 기원하면서 경(經) 읽기를 게을리하지 않았다. 어느 날 스님은 여느 날과 다름없이 저녁예불을 마치고 책상 앞에 단정히 앉아 경을 읽고 있었다.



그런데 문득 인기척이 나는가 싶더니 아리따운 아가씨의 음성이 밖에서 들려왔다. "스님 계십니까?" "뉘신지요!" 문을 연 스님이 이번에는 귀가 아니라 눈을 의심했다. 목소리만큼 아름다운 처녀가 바구니를 든 채 서 있는 것이 아닌가. "늦은 시간 이렇게 깊은 산중에 웬일이십니까?" "소녀 친구들과 나물 캐러왔다가 그만 길을 잃었습니다. 이리저리 헤매면서 길을 찾아보았으나 도무지 찾을 수가 없어서 날은 저물고 갈 길이 막막하던 차에 불빛을 보고 반가운 마음에 단숨에 달려왔습니다. 어려우시더라도 하룻밤만 묵어가도록 허락해 주시면 그 은혜 잊지 않겠습니다"라고 하며 애원했다.

"사연인즉 딱하나 소승은 아직 젊은 나이에 혼자 수행중이고 방이라고는 하나 밖에 없으니 매우 난처하군요"라며 정중히 거절했다.

"하오나 스님, 이 밤에 소녀 어디로 갈 수 있겠습니까?" 라고 애원하자 스님은 어두운 산길에 처녀를 혼자 돌려보낼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난처하긴 했지만 단칸방의 아랫목을 그 처녀에게 내주고 스님은 윗목에 정좌한 채 밤새 경전을 읽었다. 스님의 경 읽는 음성은 낭랑했다.

고요한 산중에 울려 퍼지는 그 음성은 마치 신비경으로 인도하듯 처녀 마음을 사로잡았다. 처녀는 그 밤 스님에게 연정을 품게 되었다. 거의 뜬눈으로 밤을 새운 처녀는 날이 밝자 집으로 돌아왔으나 마음은 늘 백운암 스님에게 가 있었다. 스님을 사모하는 정은 날이 갈수록 깊어가 마침내 병을 얻게 되었다.

마을에서 지체 있는 가문의 무남독녀인 처녀는 좋다는 약을 써보았으나 백약이 무효였다. 부모님의 걱정은 태산 같았고, 처녀의 어머니는 식음을 전폐하고 좋은 혼처가 나와도 고개를 젓는 딸의 심정을 알지 못해 안타깝기만 하였다. "얘야 네 소원은 다 들어 줄 테니 어찌된 연유인지 속 시원히 말해 보아라." 처녀는 지난날 만났던 젊은 학승(學僧)이야기와 함께 이루지 못할 사랑에 아픔을 숨김없이 고백했다. 사연을 들은 부모는 자식의 생명을 건지기 위해 백운암으로 스님을 찾아갔다.

"스님 제 딸을 살려주십시오. 한 생명을 건지신다 생각하시고 제 딸과 혼인하여 주십시오."

아무리 애걸해도 젊은 스님의 굳은 결심은 흔들리지 않았다. 처녀는 병이 점점 깊어졌다. "어머니, 소녀는 아무래도 오래 살지 못할 것 같습니다. 불효를 용서 하시옵소서. 그리고 마지막으로 스님 얼굴을 한 번만 보고 죽는다면 소녀 원(願)이 없겠사옵니다." 그 소식을 들은 스님은 마음속으로 안 되었다고 생각하면서도 끝내 처녀 집을 방문하지 않았다. 처녀는 그만 한 맺힌 가슴을 안고 숨을 거두었고, 스님은 초지일관(初志一貫)을 이루었다. 그 뒤 소녀는 영취산 호랑이가 되었다고 한다.

시간은 벌써 5월 중순으로 접어들어 한 달 조금 지나면 금년도 반 년이 지나간다.

연초(年初)에 세운 목표의 성취가 잘 이행되는지 중간 정도 돌아 볼 때인 것 같다. 모두들 새해의 새로운 목표를 세웠으리라. 처음 계획을 세울 때의 각오는 태풍 앞에서도 요지부동인 큰 산처럼 대단하다. 그러나 몇 개월이 지나면 마음이 해이(解弛)해져서 처음의 각오가 흐트러지기 시작한다.

그 반대는 작심삼일(作心三日)이라 했던가! 결국 초지일관은 나 자신과의 싸움이다.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남을 이기고자 하는 자는 반드시 먼저 자신을 이겨야한다(欲勝人者 必勝自勝 / 욕승인자 필선자승)'라고 했다.

또한 한비자(韓非子)는 '천하의 큰 일도 작은 것부터 하고, 천하의 어려운 일도 쉬운 것부터 해야 한다.(天下大事必作於細 天下難事必作於易 / 천하대사필작어세 천하난사필작어이)'라고 했다.

점점 힘들고 각오가 엷어지는 계절이다. 새로운 각오를 또 하게 되는 시점이 된 것이다. 다시 한 번 마음을 가다듬고, 새해에 세운 목표달성을 위해 인내하고 집중하는 다짐을 해보자. 나는 할 수 있다. 반드시 할 수 있다. 멋진 5월을 시작으로 삼아보자.

장상현 / 인문학 교수

202010130100079140002740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3.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4.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5. 김장 필수품, 배추와 무 가격 안정화... 대전 김장 담그기 비용 내려가나
  1. 대전교육청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 '최우수'
  2.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국 신청률 97.5%… 충청권 4개 시도 평균 웃돌아
  3. 대전대 박물관, 개교 45주년·박물관 개관 41주년 기념 전시회 개최
  4.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5. 최고 1436% 이자 받아챙긴 40대 대부업자 실형

헤드라인 뉴스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대전과 세종, 충북을 통합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됐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급행철도인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민자적격성 조사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번 통과는 CTX가 경제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했다는 의미로 정부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3일 열리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당일 수험생은 8시 10분까지 시험실에 입실해야 하며 반드시 수험표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단 모바일 신분증은 인정되지 않으니 주의가 요구된다. 교육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수험생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교육부는 수험생들을 향해 수능 하루 전인 12일 예비소집에 반드시 참여해 수험표를 수령하고 시험 유의사항을 안내받을 것을 당부했다. 수험표에 기재된 본인의 선택과목을 확인해야 하며 시험 당일 시험장을 잘못 찾아가는 일이 없도록 사전에 위치를 파악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시험 당..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약 7개월 앞두고 여야 지도부가 잇따라 대전을 찾아 충청 민심 다지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4일 한남대에서 특강을 했고,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5일 대전시청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주재하는 등 충청권에서 여야 대표가 맞불을 놓는 모양새다. 거대 양당 대표의 이같은 행보는 내년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5일 대전시청에서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 현황과 주요 현안을 점검한다.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