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일기:MZ읽기] 패션은 돌고 돈다 ... MZ세대 강타한 '뉴트로 패션'

  • 문화
  • 문화 일반

[트렌드일기:MZ읽기] 패션은 돌고 돈다 ... MZ세대 강타한 '뉴트로 패션'

  • 승인 2021-10-01 10:07
  • 수정 2021-10-01 11:32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컷-트렌드


 

 

90년대 말 복고와 현 트렌드 결합, 새로운 패션문화 탄생
"앞으로 몇년 간 뉴트로 패션 유행할 것으로 예상"
 

 

 

대전 둔산동 한 옷가게에서 만난 김수연(24·대학생)씨는 청바지가 나열된 진열대 앞에서 여러 색상의 부츠컷을 꺼내들었다. 김 씨는 "인터넷에서 90년대 젊은 여성들의 사진이 떠돌고 있는데, 지금 90년대 패션이 가장 힙하다"며 "불편했던 스키니진 보다는 그때 유행했던 부츠컷이나 배기바지가 더 예쁘고 편안해 계속 찾게 된다"고 말했다. 김 씨는 얼마 전까지 교복처럼 입던 스키니 청바지는 이제 모두 헌옷수거함에 버렸다.

 

패션11
90년대 말 여성들의 패션. 사진=연합뉴스

직장인 오혜린(50)씨는 얼마전 대학교에 입학한 딸이 사온 자켓과 치마를 보고 '패션은 돌고 돈다'는 말을 실감했다. 오 씨가 대학 입학시절 구입했던 짧은 자켓과 긴 치마가 딸의 쇼핑백안에 그대로 들어있었기 때문이다. 오 씨는 "젊었을때 입었던 옷들을 괜히 버렸다는 생각이 든다"며 "디자인이야 미묘한 차이가 나지만, 딱 우리 세대 유행했던 옷이라 기분이 묘하다"고 말했다.

집게핀과 곱창 밴드, 짧은 쟈켓과 부츠컷 등 X세대를 강타했던 90년대 패션이 MZ세대(밀레니얼+Z세대)사이에서 '뉴트로(NEW+RETRO)' 패션으로 부활했다.

뉴트로 패션의 가장 큰 특징은 골반부터 발목까지 빈 틈 없이 꽉 끼는 스키니 바지 대신 통이 크고 밑단이 넓은 일명 '부츠컷' 바지다. 치마 역시 발폭이나 종아리를 덮을 만큼 길어졌다. 대신에 자켓은 허리에 겨우 닿을 만큼 짧아졌다. 옷 뿐만 아니라, 악세사리에서도 뉴트로 열풍은 거세다. X세대 아이콘으로 꼽히던 김희선의 곱창밴드와 집게핀은 MZ세대의 아이콘 블랙핑크 제니와 함께 다시 유행이 되고 있다.

얼마 전 까지만 하더라도 촌스럽게만 느껴졌던 세기말 패션이 가장 힙하고 세련된 패션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패션33
90년대 말 여성들의 패션. 사진=연합뉴스

실제로 대전의 젊은 층들이 자주 쇼핑하는 곳인 은행동과, 둔산동의 보세옷가게와 악세사리 매장은 '뉴트로'패션으로 가득했다.



이들을 공략하기 위해 길거리에 놓여져 있는 진열대에는 형형색색의 다양한 모양의 집게핀과 곱창밴드 등 복고 악세사리들이 놓여져 있었다.

몇 발자국 걷지 않았는데 길거리에는 이러한 진열대들이 즐비해 있었고, 곳곳의 진열대 마다 물건을 고르기 위해 구경중인 젊은 여성들로 가게는 입구에서 부터 붐비고 있었다.

대전 은행동에서 악세사리를 판매하는 최진(29)씨는 "예전에는 이런 악세사리들을 진열해 놔도 큰 관심을 얻지 못해 아예 팔지 않았는데,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구매하고 있어 없어서 못 팔 정도"라며 "하루에도 50개가 넘는 제품들이 팔리고 있어 우리 가게에서 가장 판매율이 좋은 제품"이라고 전했다. 

 

패션22
대전 둔산동 길거리에서 집게핀과 곱창밴드 등 레트로 악세사리를 쉽게 찾아 볼 수 있었다. 사진=김지윤기자
둔산동의 옷가게들도 이들의 패션에 발맞추기 위해 부츠컷 모양의 바지들만 모아 놓고 판매하고 있었다. 과거 인기를 끌던 스키니진은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배치하고, 새롭게 유행을 끌고 있는 통이 큰 바지들을 소비자들 눈에 잘 띄게 배치해 놓고 있었다. 이제는 가게를 방문한 손님 3명 중 2명이 부츠컷 바지를 구매하고 있다. 매장 관계자는 "유명 아이돌이나, 모델들이 이러한 모양의 바지를 입고 난 뒤부터 젊은 여성들에게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며 "스키니진이 10년 넘게 유행했던 만큼 부츠컷 바지도 앞으로 몇년 은 더 큰 인기를 끌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수부 이전' 강행...국힘, 릴레이 1인 시위로 맞불
  2. 세종대왕 과학문화캠프, 청소년 미래 역량 키운다
  3. 세종 선명상 축제, 마음의 연꽃을 피우다
  4. 소진공 충북 청주 오창읍에 충북지역본부 개소
  5.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세계평화를 위한 한국가톨릭 순례단, 성모 발현지를 가다
  1. [날씨] 8일 대전·충남 낮 기온 36도까지 치솟아…온열질환 주의
  2. 7월 8일은 방위산업의 날, 과기연구노조 "국방과학연구소 노동자 노동3권 보장해야"
  3. 휴가철과 방학 앞두고 여권 발급 증가
  4.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위해 정부 예산 지원 촉구
  5. 세종시-SK(주)머티리얼즈 등과 복지 안전망 지원 협약

헤드라인 뉴스


행정통합·대전교도소 이전 등 과제 15건 국정기획위에 건의

행정통합·대전교도소 이전 등 과제 15건 국정기획위에 건의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국정과제 선정에 한창인 가운데 대전시가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모델로 한 행정 체제 개편이나 대전교도소 이전 등 지역 주요 과제를 집중 건의, 국정과제 반영을 위한 움직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정기획위원회 산하 균형성장특별위원회는 8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을 비롯해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 특위 위원 20여명이 참석한 간담회를 시작으로 현장 의견 수렴에 들어갔다. 박수현 국회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위원장을 맡은 균형성장특위는 대통령 지역공약을 총괄하는 핵심 기구다. 이..

이 대통령 “조달 행정체계 내부 경쟁·투명성·공정성 강화 중요”
이 대통령 “조달 행정체계 내부 경쟁·투명성·공정성 강화 중요”

이재명 대통령은 8일 “조달 행정체계 내부 경쟁을 강화하고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0회 국무회의에서 백승보 조달청 차장이 “외청 중에 제일 먼저 업무 보고를 드리게 된 사항을 매우 엄중히 바라보고 있다. 조달 체계를 원점에서 재검토해 국정 목표 달성을 뒷받침하겠다”고 하자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혁신 조달 강화와 관련해 “R&D 예산을 늘리는 것 못지않게 AI 등 혁신 기업의 물품과 서비스 구입 예산을 대폭 늘리는 방안을 강구해달라”며 “새로운 기술과 제도로 시장..

`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벼랑 끝 단식투쟁 만난다
'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벼랑 끝 단식투쟁 만난다

이재명 새 정부의 '해양수산부 이전' 강행 무리수가 결국 벼랑 끝 단식 투쟁을 불러오고 있다. 해양수산부공무원 노동조합(이하 해수부 노조)은 9일 오후 2시 20분 서울 국회 2층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수부의 부산 이전 졸속 추진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한다. 앞선 7일 국정기획위원회에 전달한 요구사항을 재확인하는 한편, 협의 없는 행정명령 중단 및 공론화 절차 수용을 촉구할 계획이다. 윤병철 노조위원장은 이날 회견 직후 국회 앞 대로변에서 천막 농성을 통한 단식 투쟁에 돌입한다. 해수부 직원들의 목소리를 철저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

  • 지상 ‘한산’ 지하 ‘북적’…폭염에 극과 극 지상 ‘한산’ 지하 ‘북적’…폭염에 극과 극

  • 대전 0시 축제 ‘한 달 앞으로’ 대전 0시 축제 ‘한 달 앞으로’

  • 휴가철과 방학 앞두고 여권 발급 증가 휴가철과 방학 앞두고 여권 발급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