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in 충청] 코로나19로 지역민 문화예술소비심리 위축...지역 간 문화 격차도 여전해

  • 문화
  • 문화 일반

[데이터 in 충청] 코로나19로 지역민 문화예술소비심리 위축...지역 간 문화 격차도 여전해

8월 문화관광 관련 신용카드 지출액 2019년 동월 대비 29.4% 감소
올해 상반기 공연,예매 건수도 절반 가까이 감소해
문화시설, 공연예술 행사 등 수도권 쏠림 현상 나타나
대전,문화소외계층 지원 많지만 문화 다양성 의식 부족

  • 승인 2021-10-18 16:22
  • 수정 2021-10-18 21:33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컷-데이터인충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지역의 문화예술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균형이 문재인 정부의 국정 과제로 추진되고 있지만, 여전히 수도권과 지역의 문화 향유 격차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문화비지출
그래픽=한세화 기자
▲코로나 19로 지역민 문화생활 감소=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2021년 코로나19의 문화·관광·콘텐츠 영향'에 따르면 지난 8월 충청권의 관광·콘텐츠·문화예술 관련 신용카드 지출액은 은 대전 434억 원, 세종 176억 원, 충남 1226억 원, 충북 1187억 원으로 코로나19 유행 전인 지난 2019년 동월보다 대전은 39.3%(715억 원) 충남 9.9%(1360억 원) 충북 1.1%(1200억 원)각각 감소했다.

국회 세종의사당 설립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세종만 유일하게 5,9%(166억 원)로 증감했다. 전국적으로 관광·콘텐츠·문화예술 관련 신용카드 지출액은 3조 3896억 원으로 지난 2019년 동기(4조 7984억 원) 대비 29.4% 감소했다.

데이터-영화
그래픽=한세화 기자
영화 관람 관객 수와 매출액도 줄었다. 지난 9월 넷째 주 지역별 관객 수는 대전은 5만 4563명, 세종 8910명, 충남 5만 2379명, 충북 4만 4214명이다. 이는 2019년 동기 대비 대전 34.2%(8만 2938명), 세종 17.1% (1만 0746명), 충남 33.3% (7만 8585명) 충북 32.7% (6만 5702명) 감소한 수치다.



전국 영화 관람객은 152만 6109명이다. 이는 2019년 동월 대비 38.9%(249만 8737명) 감소한 수치다. 전체 영화 매출액은 149억 9517만 원으로 2019년 동기 대비 24.5%(198억 6372억 원) 감소했다.

데이터-공연수
그래픽=한세화 기자

공연예술 분야도 마찬가지다. 공연예술전산망(KOPIS)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공연 건수는 대전 163건, 세종 12건, 충남 95건, 충북 19건으로 지난 2019년 하반기보다 대전 49.5% (324건) 세종 60% (30건) 충남 58.1% (227건) 충북 72% (68건) 감소했다. 예매 수는 대전 3만 1582건, 세종 1831건, 충남 2만 3251건, 충북 8564건이다. 2019년 하반기에 비해 대전은 75%(12만 6508건), 세종 79.4%(8,925건), 충남 76.6%(9만 9389건), 충북 72.4% (3만1101건)으로 대폭 줄었다. 전국적으로도 상반기 전국 공연 건수는 3827건으로 지난 2019년 하반기 6747건에 비해 공연 건수가 절반 가까이 줄었으며 예매 수도 올 상반기 256만 3197건으로 2019년 하반기(627만 8463건)보다 59.1%로 반 이상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 수도권 문화 쏠림 현상 여전=지역민들의 문화 활동이 위축된 가운데 수도권과 지역 간 문화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19년 문화예술정책백서' 전국 문화기반시설 현황에 따르면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등 전국 문화시설 2825개소 중 수도권(1040개소)에 절반 가까이 밀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399개소, 인천 104개소, 경기 537개소며 이에 반해 대전·세종·충청권은 대전 55개소, 세종 19개소, 충남 166개소, 충북 130개소로 적었다. 대전은 인구수가 비슷한 광주(63개소)보다도 12% 정도 문화시설이 더 적었다.

문화 격차는 '지역 대표 공연예술제' 사업에 선정된 지역별 행사 수와 지원액에서도 드러난다. 각 지역의 특성화된 공연예술축제를 지원하기 위해 추진 중인 74개의 문체부 지역대표 공연예술제 사업의 경우 수도권이 26개(서울 17개, 인천 1개 경기 8개) 행사를 지원받는 반면, 대전·세종·충청권의 경우 대전 6개, 세종 0개, 충남, 5개, 충북 1개 총 12개의 행사가 지원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이 전체 예산 91억 9500만 원을 지원 가운데 28억 600만 원을 지원받는 반면, 대전, 충청권은 11억 1500만 원에 불과하다.

▲ 문화 다양성 보호 의식은 떨어져= 문화다양성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도 충청권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부산, 광주, 제주, 경기도, 충북, 익산, 세종 등 13개 시·도가 문화 다양성 조례를 제정한 가운데 대전은 제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2019년에 대전 시의회에서 조례 제정이 시도됐지만, 종교단체의 반대로 통과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문화예술 교육과 생활 문화 동아리 확산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한다. 지역의 한 문화 정책 전문가는 "문화예술 교육의 지향점은 단순히 특정 장르 기술을 가르치는 게 아닌 문화예술 창작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문화예술을 스스로 누릴 수 있는 감수성을 길러내는 것"이라며 "생활문화 또한 기능 중심의 장르 활동이 아닌 지역 주민들이 동아리를 만들어 문화 생산자가 되는 마을 공동체 사업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과 생활문화 동아리 활동이 일상화되면 문화 소외 문제를 해결하고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 공동체간의 멤버십이 자연히 형성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2년 동안 코로나19 방역으로 지역민들의 생활문화 동아리나 문화교육 등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며 "공연장 등 문화시설에선 집단 감염 사례가 나오고 있지 않은 만큼 문화시설을 무조건 통제하기보단 안전과 통제 기능을 확보한 공공문화시설은 단계적으로 개방하는 시도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현상에 학생·교사 대피…경찰 조사 중
  2.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3. 2026년 지방선거 향하는 세종시 정치권...'시장 선거' 구도는
  4. 대전 초등학생 11년 만에 순유입 전환… 유성·중구 전국 상위권
  5.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1. 문화재 내부 공사인데도 '자체심의'…문화재 보존 사각지대 심각
  2. 광복 80주년 대전 시내버스 통해 '호국 영웅' 알린다
  3. 주말까지 비 예보…장마 시작에 침수 피해 지역 '불안'
  4. 대전선화초 증축사업 시작… 220억 들여 2026년 8월 준공
  5. [사설] 서해 어민 위협할 중국 불법 구조물

헤드라인 뉴스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항우연·천문연, 경남 사천 우주청 인근 이전 법안 발의 '파장'

‘과학수도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있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법안이 발의돼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충청권 국회의원들까지 공동 발의자로 참여하면서 공동 대응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 국회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17일 우주항공청 소재지인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분야 연구개발과 산업기능을 연계하기 위해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관련 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우주항공청 인근에 소재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 '30년 초과' 공동주택 비중 전국서 가장 높아… 대책 마련 필요

대전의 공동주택 노후화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도 주택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7일 부동산R114가 정부 '공동주택관리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전국 30년 초과 노후주택은 260만 6823채로 전체의 22%로 나타났다. 즉 전국 주택 4채 중 1채가 노후주택인 셈이다. 노후 주택은 2022년 135만 9826채(12%), 2023년 170만 5215채(15%), 2024년 219만 4122채(18%)로 꾸준히 늘..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환불' 하려니 안된다?...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 다발

충청권 캠핑장 피해구제 신청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민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피해구제 신청 중 환불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해 캠핑장을 예약하기 전 날씨와 환불 규정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한다. 17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접수된 캠핑장 관련 피해구제 사건(327건) 중 환불 불만 사례가 246건으로 전체의 75.2%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이 48.1%(157건)로 가장 많았고, 대전·세종·충청이 15.7%(51건), 강원 12.9%(42건), 부산·울산·경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장마철 앞두고 적십자사 구호물품 준비…‘유비무환’

  •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참전유공자들, ‘안보’의 중요성 강조

  •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피해 없도록’…침수대비 수방장비 점검

  •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 아빠도 아이도 웃음꽃 활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