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밀가루 전쟁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밀가루 전쟁

  • 승인 2022-04-20 13:42
  • 신문게재 2022-04-21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309972442
게티이미지 제공
"오늘 점심은 칼국수 어때? 얼큰한 공주칼국수나 바지락 넣은 시원한 칼국수도 좋고.", "짬뽕이 당기는데?", "아냐, 오랜만에 짜장면 먹을까? 곱빼기로." 점심을 먹고 식곤증으로 감기는 눈을 부릅뜨고 모니터를 보며 자판을 두드린다. 어느새 4시 50분. "피자 왔습니다." 배달원이 양 손에 피자 보따리를 들고 들어선다. 꺼진 배를 문지르며 침을 꼴깍 삼킨다. 두툼한 도우에 치즈가 듬뿍 올라간 뜨거운 피자를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 먹어치운다. 매콤한 불고기피자도 한 조각 꿀꺽! 다시 배가 빵빵해졌다. 다섯 조각 먹었나? 이걸로 저녁을 해결한 셈이다. 오늘 하루는 밀가루 음식으로 배를 채웠다. 우리는 밀가루로 된 음식을 얼마나 먹을까?

한국인은 쌀이 주식이지만 뭐가 되든 하루에 한 두번은 밀가루 음식을 먹을 것이다. 밀가루로 된 음식은 다양하다. 온갖 국수와 중국 음식들, 과자, 빵, 튀김…. 이맘때 별미인 미나리전도 밀가루가 재료다. 마트에 진열된 과자를 보라. 고객들이 저마다 끄는 카트엔 과자가 기본으로 담긴다. 달콤한 빵 굽는 냄새를 풍기는 빵집도 그냥 지나갈 수 없다. 휴일 은행동 성심당은 인산인해를 이룬다. 산더미같이 쌓은 빵 쟁반을 들고 '뭐 더 살 것 없나?' 보물찾기라도 하는 것처럼 사람들의 눈이 반짝인다. 황홀할 정도로 예쁜 케이크 진열대 앞도 장사진이다. 한여름 매콤새콤한 비빔국수는 생각만 해도 침이 고인다. 도대체 밀가루 음식의 매력은 어디까지일까.

인류에게 밀은 곡물 이상의 것이다. 지구상에 밀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우리의 식탁은 얼마나 빈약할까. 야생 밀을 재배화해 음식으로 이용하기까지 인류는 실로 장대한 드라마를 펼쳐왔다. 밀의 발생지는 서남아시아다. 약 7000년 전 메소포타미아의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인류가 최초로 밀 재배에 성공했다. 밀은 고대 신화에도 등장한다. 그리스 신화의 데메테르와 이집트 신화의 이시스는 곡물 여신으로 농업을 관장하는 대지의 신이다. 하지만 밀가루를 채취하는 일은 까다로웠다. 오랜 역사 속에서 인류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결국 오늘날의 제분방식으로 발전을 이뤘다.

유년시절의 낭만적인 추억 하나가 있다. 내 고향 마을 앞 저 멀리엔 금강이 흐른다. 어느 핸가 나는 동네 친구들과 무슨 맘인지 강에 놀러갔다. 강에 가려면 윗마을을 거쳐 너른 들판을 가로질러 가야한다. 그 들판은 순전히 밀밭이었다. 강가라 그런지 들판 길의 흙이 밀가루처럼 뽀얗고 고왔다. 바람에 일렁이는 키 큰 밀밭 사잇길을 우리는 고무신을 벗어 들고 맨발로 달렸다. 흙을 밟는 발바닥이 간지러웠다. 한참을 달리고 나서 노랗게 익은 밀을 훑어 손으로 비벼 후우 분 다음 입에 털어넣었다. 계속 씹으면 끈기가 생기고 쫄깃해진다. 영락없는 껌이다.



밀가루에 물을 넣고 반죽하면 밀가루 속 단백질이 부풀면서 껌처럼 결합해 글루텐이 형성한다. 이 특성으로 다채로운 밀가루 음식이 세계 곳곳에서 탄생했다. 그런데 손쉽게 먹던 밀가루에 빨간불이 켜졌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세계의 곡창지대라 불리는 우크라이나 밀 농사에 차질이 빚어졌기 때문이다. 이 상황은 각국의 식량 사정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당장 이집트, 터키 등 밀 생산국들이 빗장을 걸어 잠그는 모양새다. 한국의 곡물 자급률은 2020년 기준 20%대다. 그나마 쌀을 빼면 겨우 2.6%.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다. 식량안보의 위기다. 식량주권이 중요한 이유다. 서울에선 칼국수가 8천원을 돌파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이젠 서민 음식 칼국수가 아니다. 이제부터라도 우리 쌀, 우리 밀을 지켜내야 한다. 전쟁을 피해 조국을 떠나 낯선 땅에서 구호품으로 허기를 때우는 우크라이나인들의 슬픈 얼굴이 떠오른다. 부디 그들에게 다시 평화의 봄이 오길!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2.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3. 일상 속 위험, 예방이 먼저!
  4.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5.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1.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2.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3.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4.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5.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