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만찬 타임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만찬 타임

  • 승인 2022-07-06 10:09
  • 수정 2022-07-06 11:44
  • 신문게재 2022-07-07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635852666
출처= 게티이미지
뭘 입을까. 품이 넉넉한 걸 입어야 하는데. 옳지, 호피무늬 시폰 미니 원피스를 입으면 딱이겠다. 오전 11시에 찐 고구마 하나를 먹었다. 점심은 그걸로 끝. 예식은 2시 50분이었다. 이게 얼마만인가. 코로나다 뭐다 해서 몇 년 만에 결혼식장에 간다. 후배 결혼으로 모처럼 예식장 뷔페 음식을 먹어본다. 작정을 했다. 다 쓸어버리리라. 버스를 기다리는데 땡볕이 이글거렸다. 옆에서 젊은 커플이 나를 자꾸 힐끔거렸다. 응? 호피무늬 첨보니? 내가 백두산 호랑이로 보이나? 음, 호랑이도 천하의 포식자지. 그런데 이놈의 차는 왜 이리 안 오는 거야. 등줄기에서 땀이 쪼르륵 흘러내렸다.

식장에서 만나기로 했던 일행은 벌써 식당에 와 있단다. 발을 동동 구르는데 버스는 거북이 걸음이다. 버스에서 내려 식장으로 달려가 축의금을 내고 곧장 식당으로 갔다. 아차! 신부 얼굴도 안 보고 와버렸네. 식당에 들어서니 하객들이 와글와글했다. 만나기로 했던 일행을 간신히 찾았는데 남성 두 명도 있었다. 한 분은 안면이 있어 정중히 인사하고 앉았다. 독자권익위원이었다. 또 한 사람은 전직 언론인이었다. 나이 지긋한 독자위원이 반가워하며 썰을 풀었다. "아 내가 '식탐' 팬이여. 나올 때마다 꼭꼭 읽어본다구. 그런데 실제 보니까 젊네. 사진은 한 5,60대인 줄 알았는데. 사진 바꿔요. 안경 벗고 새로 찍어 올려봐." 나를 비롯해 다같이 와 웃었다. '언니를 들었다 놨다 들었다 놨다~.' 이참에 우리 동네 김 여사처럼 성형 대개조 해봐? 연예인들도 나이를 먹을수록 거꾸로 젊어지는 걸 보면 의학 기술이 보통이 아닌 모양이다.

그나저나 사진이 문제가 아니었다. 온갖 화려한 음식이 나를 향해 손짓했다. 접시에 초밥을 빠르게 담았다. 별별 종류의 초밥이 다 있었다. 이 많은 음식을 먹을 생각을 하니 가슴이 두근거렸다. 회사 후배가 인사해도 건성으로 대답할 뿐, 눈은 탐욕스럽게 먹을거리를 좇았다. 접시가 금세 수북했다. 자리에 앉아 초밥을 정신없이 입에 욱여넣었다. 매콤한 겨자 향이 코를 찔러 눈물이 찔끔 나왔다. 어느정도 배가 부르자 음식에 대한 품평이 발동했다. 생선에 비해 밥의 양이 많아 씹을 때 살점의 식감이 덜한 걸? 뭐 전문 일식집이 아니니까. "술을 못한다면서요? 술에 대해서도 쓰면 좋을텐데. 술도 자꾸 마시다보면 늘어." 한담을 나누면서 술을 홀짝이던 독자위원이 아쉬움을 표했다.

접시를 싹 비우고 두 번째 접시를 들고 순례에 나섰다. 아까는 먹이에 굶주린 하이에나였다면 이번은 시베리아 호랑이처럼 위엄을 갖추고 여유를 부리면서 어슬렁거렸다. 먹음직스런 갈비가 눈에 들어왔지만 이날은 왠지 안 당겨 회 코너로 갔다. 연어는 알겠는데 다른 건 무슨 생선인지 몰라 직원에게 물었다. "그건 한치고 이건 광어고…." 내가 신이 나서 계속 물어보자 분주히 일하던 중년의 여성 직원이 고개를 들어 나를 보았다. '바빠 죽겠는데 왜 자꾸 꼬치꼬치 물어본대? 먹기나 할 것이지.' 머쓱해서 입을 다물었다. 순간, 버스정류장에서 보았던 커플을 또 만났다. 어? 보라색 꽃무늬 원피스, 어? 호피무늬. 시절인연이 따로 없었다.



잔치국수도 맛나고, 추앙하는 수프도 있고 오랜만에 포식했다. 세 번째 디저트 접시를 들고 오자 나의 일행들이 박수를 쳤다. "역시 식탐가네." 달달한 망고 아이스크림과 초코케이크와 생크림 케이크를 먹고 나니 더 이상 들어갈 구석이 없었다. 꺼억. 트림이 절로 나왔다. 한 접시 담아온 약식과 팥떡은 손도 못 댔다. 가방을 열어 봉지를 꺼내 떡을 주섬주섬 담았다. 남은 음식 싸올 요량으로 준비한 거였다. 아, 나는 왜 음식 앞에선 이성을 잃을까. 이놈의 식탐은 도무지 당해낼 재간이 없다. 여러분, 흉보지 마시길.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