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광장] ‘삼성전자 화이팅!’

  • 오피니언
  • 목요광장

[목요광장] ‘삼성전자 화이팅!’

교보증권 대전지점 정철 부장

  • 승인 2022-10-19 08:48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21019083137
정철 부장
세계 반도체의 시장 규모는 대략 700조 규모다. 이중 삼성 반도체의 핵심시장인 메모리 반도체의 비중은 대략 30%로 약 200조원 규모다. 삼성전자는 그 시장에서 40%가량의 매출을 올려 메모리 분야에서는 80조원을, 기타 파운드리에서 14조원을 더해 94조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보면 될 것 같다.

반도체라는 시장은 종합반도체, 설계(Fabless), 위탁가공(Foundry), 패키징조립(OSAT) 등의 분업화된 시장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개개의 분야에 있는 업체들의 매출을 모두 합산해버리면 사실 반도체 시장 규모는 700조원을 훌쩍 넘게 된다. 보통 반도체 업체의 순위를 따질 때는 위탁 업체로 분류되는 위탁가공(Foundry), 패키징조립(OSAT)는 보통 순위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반도체 업체 순위를 보면 삼성과 인텔, 하이닉스, 마이크론와 같은 종합반도체 업체와 퀄컴, 브로드컴, 미디어텍 등과 같이 설계만 하고 외주를 주는 업체의 이름은 나오지만, TSMC와 칩팩, AMKOR와 같은 업체는 위탁가공(Foundry), 패키징조립(OSAT) 업체는 순위에서 제외되곤 한다.

왜냐하면 TSMC와 같은 업체의 주 고객은 퀄컴과 애플 등이고 퀄컴과 애플이 반도체 설계를 하면 TSMC와 같은 업체는 설계도면대로 반도체 다이를 만들고 칩팩이나 암코와 같은 패키징업체(OSAT)가 조립을 하여 퀄컴이나 애플의 이름으로 팔기 때문에 TSMC나 칩팩 혹은 암코와 같은 업체는 묻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올해 3분기 TSMC가 삼성전자 반도체의 매출을 앞질렀다는 이야기는 퀄컴과 브로드컴, 미디어텍, 애플 등에서 TSMC에 주문한 반도체가 삼성이 생산하는 DRAM보다 훨씬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언급했지만 전체 반도체 시장 700조원 중 메모리 반도체는 대략 200조원이 되고 TSMC의 주시장인 위탁가공(Foundry) 시장규모는 현재 100조원 가량 하는데 삼성전자는 메모리 200조원 X 40%+파운드리 100조원 X 14%=94조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고 TSMC는 파운드리 100조원 X 55% = 55조원의 매출을 달성하고 있는데 22년 3분기에 TSMC 매출이 27조원을 기록하였다는 이야기는 분기 매출이 작년 매출의 반을 했을 정도로 엄청난 호실적을 기록했다는 얘기다.

아직 메모리 시장이 파운드리 시장보다 크기 때문에 연 매출로 상정하면 올해도 삼성전자가 1위를 하겠고, 현재는 파운드리 시장이 메모리 시장의 반 정도에 불과하나 앞으로 3∼4년 뒤면 메모리 시장의 규모와 파운드리 시장의 규모가 거의 비슷하게 될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3∼4년 안에 반도체 최종 매출이 아닌 개별 업체의 매출 기준으로 TSMC도 매출이 2배 이상 될 것은 기정사실로 됐다.

물론 삼성전자 반도체도 포화가 된 메모리 시장에서 벗어나고 싶은 생각을 당연히 했을 것이다. 시장을 보는 눈도 있을 것이고 파운드리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이라고 당연히 알고는 있을 텐데 대내적으로는 수많은 정치 리스크가 삼성의 발목을 잡고 있었고, 대외적으로는 반도체 공급망의 재 조정이라든지 파운드리를 하려면 퀄컴이나 애플 등이 설계도면을 삼성에게 넘겨야 할 텐데 퀄컴, 애플 등이 기업비밀이 담긴 설계도면을 삼성에 선뜻 넘겨줄 수 없기에 이런 부분들이 삼성을 발목 잡는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원론적인 이야기이지만 삼성 반도체의 운명은 단지 기술력에만 있지 않고 삼성을 둘러싼 여러 가지 생태계에 좌지우지될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현재의 어려움을 잘 타개하기 위해서는 자국의 반도체 설계 분야를 어떻게든 크게 육성하여 삼성의 파운드리와 지속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고객 군을 늘려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미국·네덜란드와의 외교를 통해 EUV 노광장비를 TSMC 이상으로 조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정치력이 필요하고, 대기업 특혜니 뭐니 정치 공작을 하여 국가의 기반이 되는 산업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특정 정치 세력들을 엄단해 대한민국의 특산품이 반도체로 꾸준히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한때 국민주로서 십만전자를 꿈꾸던 삼성전자가 사경을 헤매고 있지만 이재용 부회장의 회장 취임에 즈음하여 다시 한번 응원을 보내본다. '삼성전자 화이팅!'

/교보증권 대전지점 정철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2.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3. 일상 속 위험, 예방이 먼저!
  4.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5.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1.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2.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3.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4.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5.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