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도시의 빛 도시의 어둠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도시의 빛 도시의 어둠

김병윤 전 대전대 디자인·아트대학장

  • 승인 2023-02-01 10:04
  • 수정 2023-02-01 10:15
  • 신문게재 2023-02-02 19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김병윤 (문화인)
김병윤 전 학장
연전에 수업 중 학생들에게 가장 여행하고픈 지역에 대해 버킷리스트를 물은 적이 있다.

답변은 매우 쉽게 나오리라 내심 예상하였지만 가장 1위에 오른 곳은 전혀 기대하지 않았던 지역이라서 의아해하지 않을 수 없었다. 버킷리스트 1위는 다름 아닌 북극의 오로라를 보는 것이었다. 파리 런던 뉴욕이 아닌 차가운 얼음의 땅 극 지대였고, 유구한 역사 도시들에 대한 열망보다는 빛이 만들어 내는 그 순간을 많은 학생이 맘속에 그리고 있었기에 좀 놀라웠다.

이 집합의 구조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나 사람들이 가장 많이 집합되는 여러 경우를 생각해 보면 간단하게 조그만 답이 정리된다. 도시에는 다양한 이유로 사람들을 집합시키는 이벤트들이 있다. 최근 할로윈데이에 일어난 불운한 집합이나 순간의 화려한 불꽃놀이를 보기 위한 집합 등처럼 이벤트성 군중의 집합은 자주 이루어진

다. 주요 이벤트로 등장한 작금의 할로윈데이, 주요 도시들이 저마다 개최하는 불꽃 축제, 장소를 빛으로 장식하는 정기적인 루미나리에 외에도 무수한 이벤트 행사들이 집합을 부추기고 있다. 가까운 일본은 오랜 전통의 마쓰리 축제, 중국의 춘절 등 나라마다 축제가 있고 도시마다 지역마다 나름의 주로 빛이 중점적인 도구로 움직임이 큰 집합들을 만들고 있다. 화려함과 각별한 도시의 빛을 끌어내 함성과 소요가 일어나는 것도 결과라 볼 수 있다. 극지에서 일어나는 오로라 현상 역시 빛의 축제처럼 장관을 이루기에 열광하는 기회가 된다. 저마다 나름의 빛과 어둠을 지니고 있는 도시는 풍요와 궁핍함도 지니며 불나방이 모이듯 화려한 도시의 불빛은 사람들을 모은다.



도시는 늘 먼저 우리가 원하는 것들이 우선되어 이루어지고 뒷감당은 뒤이어 이어지며 부수고 다시 고치는 일들로 이어져 왔다. 도시의 계획은 언제랄 수도 없이 필요에 따라 진행되어왔고 길이 나면 건축이 먼저 목적을 위해 이루어지고 좀 지나고 나면 이제 치유의 시간이 기다리고 있다. 만들기도 쉬운 일은 아니나 고치는 일은 이보다 더욱 정교하고 시간과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일이어서 재생이란 고단한 일은 계획이 미리 보지 못하고 건축의 필요 욕구가 지나쳤던 결과의 치유사를 기록하고 있다.

사람들이 도시에 모이는 이유를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들은 살기 위해 모이고 더 잘살기 위해 도시에 머문다"고 했는데 생존과 번영의 기반이 이루어지는 도시의 역사는 그때나 지금이나 같은 이유로 성장과 쇠퇴를 반복하고 있다.

도시를 보고 지킬 것 버릴 것 키울 것을 사유하고 다짐해야 할 기회가 절실해지는 때다. 필요하면 만드는 단순 순환논리를 기본으로 지닌 정치적 판단을 정책이 따라가기보다는 가이딩 울프처럼 기다리며 차근차근 어긋남 없는 길로 안내하듯 도시의 역기능을 최소화 하는 정치 상대의 기본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불운이 겹치는 마당에 골목길에 내놓은 가판대와 냉방장치가 원인이 되었다는 구차한 사안에 너나없이 달려드는 이 뒷감당의 냉혹한 시대를 탓하기 전에 침착해질 필요가 있다. 현대의 도시는 언제 어느 때든 무슨 일을 저지를지 모르는 일촉즉발의 위험 앞에 놓여있는데 가판대 얘기만 하고 있을 수 없는 것이다. 기본부터 다지지 않으면 고치기만 할 것이다.

도시의 성장을 개발이라 하여 변화를 유도함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데 그러한 시간의 공백 지대들은 속절없이 시름시름 어둠의 깊이를 더해 간다. 오랫동안 비가 그치기를 기다리며 젖은 채로 처절하게 어둠 속에 잠긴 도시 한복판을 보면서 도시의 빛과 어둠의 상대적 불균형 역시 기본에 충실하지 못한 도시의 전략성에 기인하고 있음을 아쉽게 바라보게 된다.

/김병윤 대전대 전 디자인·아트대학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