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인칼럼]정당국가

  • 오피니언
  • 전문인칼럼

[전문인칼럼]정당국가

이승현 산군(山君) 법률사무소 변호사

  • 승인 2024-01-14 12:10
  • 신문게재 2024-01-15 18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변호사이승현증명사진
이승현 산군(山君) 법률사무소 변호사
대한민국의 정치구도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으로 대표되는 진보이념을 표방하는 거대한 당과 보수이념을 표방하는 또 하나의 거대한 당이 대결하는 양당제 국가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물론 정의당, 진보당 등의 소수정당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정당이 대선이나 총선에서 승리할 길은 요원해 보인다. 그러다 보니 4월 10일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판은 거대 양당의 공천을 받는 일로 암투(暗鬪)가 벌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민주주의(民主主義)란 국가의 주인(主人)은 국민(國民)이라는 사상으로, 그렇기에 국가를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유래되어야 한다고 본다. 대한민국헌법 제1조 제1항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고, 같은 조 제2항에서 이를 보다 구체화하여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라고 재차 설명하며,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국가임을 선언하고 있다. 즉 대한민국은 약 5000만 명의 국민이 임자가 되어 공유하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국민은 저마다 해야 할 일이 있기에 공천을 받는 등 정치판에 들어가 암투를 벌일 시간이 없다. 그래서 국민들은 나를 대신하여 국가의사를 결정해 달라고 국민을 대표하는 대통령과 국회의원 등을 선출한다. 이는 국민이 직접 국가의사를 결정하지 않고, 일종의 대리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국가의사를 결정하는 것이기에, '간접민주주의' 내지 '대의제 민주주의'라고 한다.

이러한 대의제 민주주의에 따라 선출된 대표자들은 개개 국민의 의사 내지 이익을 넘어 국민 전체 이익을 대변하고 우선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본다. 이를 '국민의 경험적 의사와 대표자의 추정적·잠재적 의사가 충돌할 때 후자를 우선시한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렇기에 정치인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공리주의(功利主義)를 기본적 인식의 틀로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닐까 싶다.



그런데 대표자 혼자서는 무엇 하나 이뤄내기 어렵다. 그러다 보니 각자의 이해관계에 맞는 파벌(派閥)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는 어쩌면 인류 역사가 개발해낸 정치이론 이전 인간의 본성 문제일 수도 있어 보인다. 이러한 파벌이 국가의 제도 속에 들어와 정당이 되고, 나아가 국민의 지지를 받는다면 정권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제는 '민주주의=대의제 민주주의=정당제민주주의'가 개념적으로 구별되지 않고, 동일하다는 공식이 성립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공식이 성립됨에 따라 애시당초 추구했던 '국가의 주인은 국민이다.'라는 민주주의의 기본이념이 훼손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정당은 다른 조직과 마찬가지로 피라미드의 계층성을 가질 수밖에 없고, 그렇기에 피라미드 정점에 있는 소수자들에 의해 정당의 의사가 결정될 위험이 있다. 앞서 국민의 경험적 의사까지 무시하며 일단 대표자의 추정적·잠재적 의사를 국민 전체의 이익을 위한 의사일 것이라고 존중해주었는데, 이러한 대표자 의사가 사실은 소수자들에 의한 정당의 의사에 의해 변질되어 버리는 것이다.

이를 정당제민주주의 하에서 민주주의 위기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민주주의 위기는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어쩌면 정답은 단순할 수도 있다. 힘들 땐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말이 있듯이, 가장 단순한 형태의 민주주의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즉 정당의 운영과정에서 국민 속에 있는 당원의 의사와 당원은 아니지만, 국민의 의사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렴할 필요가 있고, 특히 대표자가 되기 위한 우리 당의 선수를 선출하는 경선 과정에서는 더욱 그렇다.

그렇기에 국민들은 현존하는 대한민국의 정당들이 2024년 4월 10일을 총선을 맞이하며 정당으로서 어떻게 민주주의를 실현하는지 큰 기대를 가지고 지켜볼 것이다.

이승현 산군(山君) 법률사무소 변호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2. 경찰 경무관급 전보 인사는 났는데… 승진 인사는 언제?
  3.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4. 자운대 공간 재창조 사업, '수면 위로 언제 드러날까'
  5.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1.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2.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3. [교정의 날] "사회 지탱하는 교정, 첫 단추는 믿음" 대전교도소 박용배 교감
  4.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5. [중도 초대석] 우송대 진고환 총장 "글로벌 대학서 아시아 최고 AI 특성화 대학으로"

헤드라인 뉴스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프로야구 한화이글스의 가을야구가 대전에서 펼쳐지는 날 기차와 고속·시외버스 이용해 대전을 오가는 발길이 전주보다 최대 2만6000여 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많은 사람이 운집하는 한화의 대전 홈경기가 할로윈과 같은 시기에 개최되면서 경기 시작 전후와 은행동 지역에 인파가 밀집해 발생하는 사고 예방관리가 요구된다. 한국시리즈 엘지를 상대로 두 번의 패배를 당한 한화이글스가 29일부터 3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3연전 홈경기를 앞둔 가운데 경기 시작 전후의 안전관리가 화두가 되고 있다. 중도일보가 한화이글스 대전 홈경기가 개..

대전 정치권, 이태원 참사 3주기 맞아 "안전한 사회 만들 것" 한목소리
대전 정치권, 이태원 참사 3주기 맞아 "안전한 사회 만들 것" 한목소리

충청 정가가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맞은 29일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더욱 안전한 사회를 만들 것을 다짐했다. 먼저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이날 논평을 내 "159명의 안타까운 희생을 깊이 추모하며, 여전히 고통 속에 계신 유가족과 생존자들께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시당은 "늦었지만 의미 있는 걸음이다. 특별조사위원회는 참사의 구조적 원인을 철저히 밝히고, 실효성 있는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늦어진 진상 규명은 조속히 마무리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피해자들을 향한 2차..

충남스포츠센터 문 연다… 다음 달부터 시범 운영
충남스포츠센터 문 연다… 다음 달부터 시범 운영

충남스포츠센터가 문을 연다. 다음 달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가며 도민 누구나 최신 체육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는 28일 내포신도시 충남스포츠센터 다목적체육관에서 김태흠 지사와 체육계 관계자 등 8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스포츠센터 개관식을 개최했다. 충남스포츠센터는 예산군 삽교읍 내포신도시 환경클러스터 내 2만 615㎡ 부지에 592억 원을 투입해 건립했다. 센터는 수영장 및 통합운영센터, 다목적체육관 등 2개 동으로 구성했으며, 연면적은 1만 3318㎡이다. 수영장 및 통합운영센터는 1만 1196㎡의 부지에 연면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 코스피 지수 사상 첫 4000선 돌파…4042.83으로 마감 코스피 지수 사상 첫 4000선 돌파…4042.83으로 마감

  • 초겨울 날씨에 두꺼운 외투와 난방용품 등장 초겨울 날씨에 두꺼운 외투와 난방용품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