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톡] 문화재 홍보에 열 올리는 사나이 이광섭

  • 오피니언
  • 문예공론

[문화 톡] 문화재 홍보에 열 올리는 사나이 이광섭

김용복/평론가

  • 승인 2024-03-17 10:36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3월 14일 오전 11시

진잠향교에서 그를 만났다. 이날은 '孔紀 2575년 春季 釋尊大祭奉行'를 거행하는 날이라 설동호 대전 교육감을 비롯하여 윤소식 국민의힘 유성갑 국회의원 후보자 등 많은 추모객들이 참석하였다.



문화재 홍보에 열 올리는 사나이 이광섭 그가 관리하고 있는 '가보자, 보문산 블로그'에 게재된 내용에 의하면……

[이광섭씨(69세)는 자칭 구멍에 빠진 사나이다. 웃음을 유발시키는 별칭이지만 사실이 그렇다. 그가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바위에 나 있는 구멍, 이른바 성혈(性穴)이다. 성혈의 사전적 의미는 바위그림의 한 종류로 돌의 표면에 파여져 있는 구멍이다. 주로 고인돌이나 자연암반에서 발견되는데, 풍요와 다산을 위한 선사시대의 신앙행위로 추정하고 있다.



이 씨가 본격적으로 성혈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 것은 2012년 2월 어느 날부터다. 대학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고 현재건축 감리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이 씨는 대전지역 문화재나 건물에 관심을 갖고 꾸준히 지역의 문화유산을 답사해왔다. 그러던 어느 날 그의 눈에 계족산성 남문 주변의 성혈이 들어왔다. 아니 정확히는 '가슴으로 들어왔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다. "성혈을 보는 순간 묘한 매력을 느꼈어요. 성혈이 있는 바위나 고인돌이 또 어디에 있을까? 누가 바위에 구멍을 낸 것일까? 의문이 꼬리를 물었지요."

집에 돌아와 인터넷을 뒤지는 등 자료를 찾았지만 겨우 사전적인 정의만 접할 수 있었을 뿐 관련서적이나 논문이 거의 없었다. 그로부터 그는 본격적으로 '구멍찾기' 작업을 시작했다. 거의 모든 주말 시간을 꼬박 바쳐 성혈을 찾아 나섰다. 그 와중에 이씨보다 먼저 구멍에 빠진 안여종(대전문화유산울림대표), 이주진(대전광역시 숲길 체험지도사), 이창남(산악인)등 이미 대전 근교산을 이 잡듯 뒤지고 다닌 선배(?)들을 만나 앞서 발견된 성혈을 안내받을 수 있었다. 이들은 지역의 성혈을 발굴해 보존하고 학술적 가치를 찾자는데 의기가 투합돼 '구멍모임'을 결성했다.

캡처
네이버 블로그 '가보자! 보문산' 화면 캡처
늦바람이 무섭다고 했던가? 주말마다 아내 조명숙씨와 성혈을 찾아 길을 나선 이씨는 이미 알려진 42개의 성혈 외에도 15개의 성혈을 더 찾아 자신의 블로그에 위치. 크기 · 개수 등 관련 정보와 사진을 올렸다. 선명한 사진을 구하기 위해 대동 하늘공원 속칭 연애바위 성혈을 열다섯 번이나 방문하기도 했다. '돈이 나오냐 밥이 나오냐?"는 아내의 지청구가 이어졌지만 성혈탐사를 중단할 수는 없었다.

"한번은 성혈을 찾아 동네로 들어갔다가 도둑으로 오인 받았어요. 명함을 보이며 바위에 난 구멍을 찾으러 다니는 사람이라고 소개했더니 오해를 풀고 자기 집 마당 안에도 성혈이 있다고 알려주시더군요."

이씨는 지난 해 12월 그동안 모은 자료를 바탕으로 <가보자 보문산님의 대전문화 유산 답사기 성혈편>이라는 책을 엮었다. 이 책은 성혈에 대한 자료뿐 아니라 주변 유적지까지 소개해 훌륭한 대전지역 문화유산답사 자료집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비를 들여 책까지 만든 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지요. 대전에도 유구한 역사가 서린 유적이 많다는 것을 알리고 성혈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싶었어요."

성혈에 남편을 빼앗긴 아내 조명숙 씨는 그 후 어떻게 됐을까? "아내요? 아주 든든한 성혈찾기 동반자가 되었죠. 같이 길을 나서면 나무 막대기로 풀을 헤치며 열심히 성혈을 찾아요. 자기가 찾으면 조명숙 성혈이라고 꼭 이름 붙여달라면서요. 그 뜻이 갸륵해 책에 아내사진을 살짝 실었지요." 이광섭씨는 혹시 <이츠대전> 독자 중 자신만이 알고 있는 성혈이 있다면 언제든지 연락을 해달라는 당부를 잊지 않았다.]

필자가 이날 본 이광섭씨는 말 그대로 미친 사람이었다. 미치지 않고는 돈도 생기지 않는 일에 그처럼 매달릴 수는 없었다. 연금이라도 나오는 게 있느냐고 물었다. 먹고 살수는 있어야하니까. 얼마되지 않고 조금씩 받는게 있다고 하였다. 그런 말하는 그의 얼굴을 보며 그의 아내 조명숙씨가 훌륭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돈벌이 없이 미친 짓(?)하는 남편을 내조하는 아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 자신이 부끄러웠다.

우선 일 할때 댓가를 먼저 계산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댓가를 바라지 않고 미치게 일하는 사람이 있어야 문화재도 보존되는 것이고 알려지지 않은 문화재도 발굴되는 것이다.

김용복/평론가

김용복
김용복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1.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2.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5. '제5회 SDGs 소셜벤처 챔피언십'서 목원대 학생 2팀 수상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