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미술 아카이브] 26-195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들 '임봉재 개인전'

  • 오피니언
  • 대전미술 아카이브

[대전미술 아카이브] 26-195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들 '임봉재 개인전'

송미경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 승인 2024-03-27 16:23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14.3월 28일자(목)_1임봉재 수채화전, 1957
《임봉재 수재화전》 리플렛, 1957. (이미지: 대전시립미술관 제공)
1958년 3월 12일부터 17일까지 대전문화원 전시실에서 임봉재 수채화전이 개최됐다. 당시 서울대학교 서양화과 재학생이던 임봉재는 치료를 위해 휴학을 하고 대전에 머물며 틈틈이 그린 수채화 작품 21점으로 전시회를 열었다. 리플렛 초대 글은 작가의 대전공업고등학교 스승이자 미술대학의 진학을 권유한 김기숙(서양화가, 1924~2002, 충남 청양출생)이 썼다. "이번에 처음으로 개최되는 임봉재 군의 수채화전을 감상하면 잘 아시겠지만 군은 보기 드문 천재적 소질을 풍비한 화학도(畵學徒)라는 것을 먼저 알려 드립니다"라며 "그 뛰어나고 놀라운 솜씨는 지위(枝威) 있는 분들을 경탄케 하고 있으며 오로지 일생을 예술을 위하여 살겠다고 나선 이 젊은 화학도의 장래를 아끼고 위하시는 존의(尊意)로써 많은 협조와 편달(鞭撻) 있으시길 혜심(蕙心)으로 바라옵니다"라고 칭찬과 격려를 보냈다.

임봉재는 1933년 충청북도 옥천에서 태어났다. 대전 선화초등학교와 대전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입학했으나 1958년 신장 이상으로 중퇴했다. 1957부터 대전공고 강사로 재직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강경상업고등학교, 대전고등학교, 충남고등학교 등 교사를 역임하고, 이후 교감, 교장을 거쳐 충남도교육위원회 장학사, 1997년부터 2000년까지는 대전시립미술관 초대 관장을 지냈다.



그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가족에 대한 애틋한 사랑을 향토적인 색채와 짜임새 있는 구성으로 꾸준히 작품 활동을 펼쳐왔다. 향토적인 서정을 기반으로 따뜻한 인간애가 담겨 있는 그의 작품은 대전지역 구상미술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쟁의 상흔이 남아 있던 1950년대 열악한 환경에서도 이러한 개인전들이 늘어나며 대전 미술은 점차 그 기반을 넓혀갔다.



* 지역미술조명시리즈 Ⅰ 《가교:이동훈, 이남규, 이인영, 임봉재, 이종수;》(2024.3.19.~5.20) 전시가 대전시립미술관에서 개최 중입니다. 위 리플렛을 비롯해 임봉재 작가의 자료와 작품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기회니 기간 내에 전시 관람을 추천합니다.

/송미경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2.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3.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4.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5.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1. ‘선배님들 수능 대박’
  2. 김영삼 "대덕특구 순환버스 중단 우려"… 산건위 市 교통국 행정사무감사
  3.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4. 이장우 시장 "지방재정 부담 사전협의 및 예타제도 개선 필요"
  5. 한중문화교류회 대전-우한 서화교류전 막 올려

헤드라인 뉴스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는 독서가 어렵게, 수학은 공통·선택 모두 까다로운 문항이 배치되면서 수험생 체감 난도가 크게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영어도 지난해 수준을 유지했지만 일부 고난도 문항이 포함돼 상위권 변별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13일 입시 전문가들에 따르면 국어 영역은 지난해 수능보다 약간 어렵고 9월 모평보다는 부담이 덜한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파악된다. 독서는 지문 난도가 높았던 반면 문학과 선택과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구성됐다. 법 해석·담보 기능을 다룬 사회 지문은 개념 추론 과정이 복잡했고,..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