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시다문화]보령 가볼만한 곳 '고대도'

  • 다문화신문
  • 보령

[보령시다문화]보령 가볼만한 곳 '고대도'

  • 승인 2024-06-13 09:52
  • 신문게재 2024-06-14 10면
  • 김재수 기자김재수 기자
보령시다문화
보령시 고대도
더욱더 좋은 삶을 원하면서 고층 아파트에서 단열 유리창 속에 살다보면 비가 오는지 눈이 오는지 신경 쓰지 않는다.

편하게 일상생활을 살아가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한편으로는 정서적 허전함을 채우기 위해 캠핑 여행에 떠나기도 한다.



보령에서 가볼만한 곳 '고대도'를 소개한다. 보령시 오천면에 속한 고대도는 해안선길이 약 4.3km이다. 충분이 걸어서 고대도 섬을 한박뀌 돌 수 있다. 고대도의 선착장에서 내려서 좌측으로 이어지는 해안길을 걸어가면 정비된 산책길이 있다. 어선에서 내려놓은 어망은 행인들의 걸음에 방해되지 않게 길게 정리해서 손수 수선하고 있다. 시간이 멈춘 것처럼 평온한 풍경에 파도가 조용히 친다. 바닷물이 깨끗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바다바닥에 뭐가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산책길을 걸어가면 싸리빗자루가 군데군데 기대놓고 있으며 그 외는 바다와 하늘이다. 산책길은 바다 위에까지 이어지며 좌측은 바다, 우측은 바위가 있으며 하늘과 바다 사이를 걸어간다. 바위 밑쪽에는 파도로 밀려온 조개껍질의 조각들이 하얗게 햇빛을 반사해서 그러데이션으로 나선을 그리고 있다. 더 계속 걸어가면 길은 울퉁불퉁한 돌담길이 된다. 돌담길의 끝이 보이는 그곳에 '칼 귀츨라프 선교 기념비'가 있다.

칼 귀츨라프(Karl Friedrich August G·tzlaff, 1803~1851)는 1832년 한국에 온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로 그의 사역지로 기념하는 고대도는 선교적 위상이 뛰어나고 문화적 가치도 높다고 기록이 있다.



돌담길 끝에서 돌아오면서 내 등에 햇빛을 받아서 걸어 나오는 길은 짧게 느껴진다. 해안길에서 벗어나서 산길에 들어가면 반대쪽의 바다로 내려간다. 돌멩이들을 밟아서 바닷물까지 나가면 아무도 없는 바다를 만찍할 수 있다. 파도의 소리와 나의 발걸음에 놀라서 도망가는 바다벌레의 소리가 귀에 울린다.

어망을 수선하는 자는 말없이 똑같은 자세로 길바닥에 앉아서 변하지 않다. 100가구 정도가 거주하는 고대도는 조용하고 소박하다. 바람이 불어 하늘에 떠있던 구름인지 안개인지 내려와서 바다 전면을 안개로 가려버린다. 10분도 안 되는 사이에 그 넓은 바다가 해무로 인해 보이지 않는다. 바다 앞에서는 허세를 부릴 수 가 없다.

고대도는 대천연안여객선터미널에서 하루 3번 운항하는 여객선을 타고 1시간 반에서 2시간 소용된다. 숙박소와 식사 가능한 식당도 하나 있다. 이케다마찌꼬 명예기자(일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5.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1.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2.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3.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4. 금은방 새벽 침입했지만, 금고는 못열어…절도미수 40대 징역형
  5. 대전기상청, 폭설 재난문자 신설하고 지진 조기경보 강화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