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소상공인 성장률 바닥…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 시 경영난 가중

  • 경제/과학
  • 지역경제

충청권 소상공인 성장률 바닥…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 시 경영난 가중

소상공인연합회 전국 사업장 대상 조사 결과
충청권 연평균 성장률 전국 기준 하위권으로
최저임금에 대해선 56.4%가 "인하해야" 응답

  • 승인 2024-06-11 17:16
  • 신문게재 2024-06-12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머리야
내년도 최저임금이 인상될 경우 충청권 소상공인들의 경영난은 극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연평균 성장률은 전국 하위권에 그친 반면 인건비 상승률은 전국에서 가장 높았기 때문이다.

11일 소상공인연합회에 따르면, 5월 6일부터 31일까지 전국 소상공인 사업장 1000곳을 대상으로 최저임금 인상 소상공인 영향 실태조사 결과 충청권 사업체 연평균 성장률은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대전·세종·충청 110명, 서울 211명, 경기·인천은 215명, 강원 51명, 대구·경북 129명, 부산·울산·경남 154명, 광주·전남·전북 130명 등 지역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했다.



충청권 사업체 연평균 성장률은 하위권이다. 대전·세종·충청 소상공인이 응답한 사업체 월평균 매출액은 2022년 1370만원, 2023년 1341만원, 2024년 1388만원으로, 연평균 성장률은 0.4%에 그쳤다. 이에 반해 강원은 3%로 가장 높았으며, 서울과 경기·인천 연평균 성장률이 각각 1.6%로 뒤를 이었다. 영업이익은 마이너스다. 대전·세종·충청 월평균 영업이익은 2022년 309만원, 2023년과 2024년 각 303만원으로 연평균 성장률은 -0.7%다. 강원(3.8%), 경기·인천(2.6%), 광주·전남·전북(1.8%), 대구·경북(1.4%), 서울(1.2%)로 타 지역은 모두 상승세를 보였으나, 대전·세종·충청만 바닥으로 향했다.

또 연간 인건비는 상승률은 충청권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대전·세종·충청의 월평균 인건비는 2022년 221만원, 2023년 236만원, 2024년 272만원으로 연평균 인건비 성장률은 7.8%다. 대구·경북과 강원 각 2.5%, 부산·울산·경남 2%, 서울 1.7%, 광주·전남·전북 1.1%, 경기·인천 0.9%로 나타난 것보다 3배가량 인상됐다.



전년보다 매출액이 어떤지에 대한 질문에 충청권 소상공인들은 66.4%가 '비슷하다'고 답했고, '악화' 31.8%, '매우 악화' 0.9% 순이었다. 이에 반해 매우 호전됐다는 응답은 0%였으며, 호전됐다는 응답도 0.9%로 극소수에 그쳤다.

충청권 소상공인은 매출 감소 원인으로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감소'를 58.3%로 가장 많이 꼽았으며, '경쟁업체의 부각 및 대체품 진입' 30.6%, '디지털 전환 등 경영 상황 변화' 5.6% 순이었다. 전년 대비 영업이익을 묻는 질문에는 '악화됐다'는 응답이 57.3%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호전됐다' 20.9% , '비슷하다' 20%로 조사됐다.

최저임금 결정이 사업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응답으로는 대전·세종·충청 소상공인 65.5%가 '부담이 크다'고 했고, '매우 부담이 크다'도 20.9%에 달해 전체의 86.4%가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임금을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은 56.4%였고, 동결은 41.8%였다. 반면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은 1.8%로 미미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4.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3.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헤드라인 뉴스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10개 대학이 수시 전형에서 학교폭력 이력을 평가에 반영해 37명이 불합격한 것으로 조사 됐다. 2026학년도 대입 전형이 이뤄지는 올해 전국 대학이 학폭 사항을 필수적으로 확인해 탈락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년제 국·공립, 사립대학 61곳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내 학폭 처분 이력을 2025학년도 대입 전형 평가에 반영했다. 수시모집에서는 370명 중 272명(73.5%), 정시모집에서는 27명 중 26명(96.3%)..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