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도전의 날’이 필요하다

  • 사람들
  • 뉴스

[독자칼럼]‘도전의 날’이 필요하다

조영관 (사)도전한국인본부 상임대표/경영학박사(숭실대학교 경영대학 겸임교수)

  • 승인 2024-06-20 01:14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조영관
통계청 최근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의 인구가 30년 뒤인 2052년에는 현재보다 16% 정도 감소한 700만 명대로 떨어질 것이란 추계가 나왔다.

서울시의 종합지원 대책 중 저출생 대응방안으로 ‘신혼부부 주택 확대방안'이 발표됐다. 2026년부터 매년 신혼부부의 10%에 공공주택을 공급해 아이를 낳아 키우는 동안 집 걱정을 줄여주겠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청년지원금 등 다양한 정책을 내 놓았다.



그동안 저출생 대응책은 백가쟁명식으로 수 없이 많은 방안이 나왔다. 그렇지만 큰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그것은 물질적 지원으로 해결하려는 짧은 생각 때문이다. 이를 성공시키려거든 여기에 정신적 지원책이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청년들에게 물질적 지원과 함께 꿈, 희망, 동기부여, 도전 정신 등 무형의 절대 가치를 느끼게 해야 한다. 미래에 대한 희망이 보이지 않을 땐 백약무효일 수 밖에 없다. 이런 면에서 서울시의 동행·매력 도시로의 브랜드화는 매우 적절하고 유의미한 정책이다. 여기에 ‘도전의 날’ 제정 움직임은 정책적으로 묘수이거나 신의 한 수로 보인다. 도전하는 자에게 서울은 희망이고 미래는 천국이지만, 도전을 포기하는 자에게 미래는 없을 것이다. 천년고도 서울은 이미 글로벌 도시로서 명성과 상당한 수준의 도시경쟁력을 갖고 있다. 조금만 더 미래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도전한다면 글로벌 탑5 도시가 될 것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꿈을 꾸고 그 꿈을 실현하기 위해 도전하면서 살아가려 한다. 오늘보다 내일에 더 희망을 건다. 그런데 최근 사회적·경제적으로 어려워지다 보니 도전하지 않고 아무런 생각이 없이 이를 포기하는 경향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3포니 4포니 신조어가 생겨 날 정도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큰 일이다. 도전을 포기하거나 생각조차 하지 않으려는 사회는 더 어려운 세상이 될 수 밖에 없다. 보통 사람들은 격려받거나 응원을 해주면 힘이 나는 법이다. 그런데 도전을 포기하거나 생각하지 않는 자에겐 격려도 사치이고 짜증나는 말로 들릴 수 있다.



이런 시대에 서울이 물질적 지원과 함께 선제적으로 도전을 격려하고, 도전의 날을 제정해 용기를 북돋는 캠페인을 벌인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는 사회 발전의 소금과 같은 역할이 될 것이다. 서울시가 '도전의 날'을 제정하고 도전의 첫 수도로서 도전의 메카가 된다면, 세계적인 명성은 여기에서부터 굳건해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도전정신의 대표적인 사례는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라 할 수 있다. '근면, 자조, 협동'이라는 구호 아래 국민을 계몽하고 낙후된 농촌 환경을 개선해 경제 발전까지 이루었다. 이렇듯 서울시가 정신적 가치로 '도전정신'을 앞세운다면 새마을운동 못지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서울시의 '도전의 날'은 단순히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도전의 가치를 갖게 하고, 스스로 실천하는 실천적 결심을 밝히는 날이 돼야 한다. 또 '도전의 날'은 우리 모두가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출발하는 날이 돼야 한다. 도전하지 않으면 실패도 없지만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 추운 겨울을 이겨낸 씨앗만이 새싹을 틔우고 아름다운 봄꽃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실패와 시련에도 굴하지 않고 꿈을 향해 한발 두발 나아가는 그 자체가 도전이다.

'도전의 날'은 우리 사회에 절망과 좌절, 고통과 위기를 극복하고, 성과와 격려를 함께 만들어내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날은 수 많은 사람들이 도전정신을 갖게 하고 확산시켜 도전바이러스가 널리 퍼짐으로써 더 살기 좋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공감대를 만드는 날이다. 가치있는 도전은 '한사람의 열걸음'보다 '함께하는 한걸음'을 더욱 소중하게 생각하고 다 같이 만들어가는 세상이다. 꿈, 희망, 나눔과 도전정신으로 더 좋은 세상을 향해 우리 모두 함께 가는 사회,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나누고 공유하며 긍정적으로 발전해나가기를 원한다.

더 좋은 세상을 향해 시민들이 함께 한 방향으로 간다면 이게 곧 '시민 동행'이다. 오직 희망으로 승화되는 날이 도전의 날이다. 나 혼자만 살기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 모든 시민이 행복과 성취를 공유하고 나누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조영관 (사)도전한국인본부 상임대표/경영학박사(숭실대학교 경영대학 겸임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