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다문화] "아산시가족센터 덕분에 한국적응이 쉬웠어요"

  • 다문화신문
  • 아산

[아산다문화] "아산시가족센터 덕분에 한국적응이 쉬웠어요"

  • 승인 2024-06-20 15:52
  • 신문게재 2024-06-21 10면
  • 남정민 기자남정민 기자
clip20240620091252
베트남 '찌엠봉사단'
현재 한국은 많은 결혼이민자들이 지역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전국적으로 200여 개의 가족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그 중에서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아산시가족센터(센터장 조삼혁)는 매년 다양하고 유익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하여 이주민들에게 적지 않은 도움이 된다.

아산시에 거주하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이채원(Pham Kieu Tien)씨를 만나 한국 생활 정착과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이채원씨가 2018년에 처음 한국에 입국하여 결혼한 후 지금까지 6년이 되었다. 현재는 배우자 및 아이 한 명과 같이 아산시에 살고 있으며, 작년부터 아산 온양 시장 내 옷 가게를 운영하면서 호원대학교 뷰티산업학과에서 공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처음엔 의사소통 문제와 문화차이로 적응에 고생이 많았다고 했다. 그 과정을 극복하고자 스스로 계속해서 노력했지만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다고 했다.



지인의 소개로 아산시가족센터(센터장 조삼혁)를 알게 된 후 많은 변화가 생겼다고 했다. 다양한 센터 프로그램 중에서 대표적으로 한국어 교육, 육아 관련 교육, 직업훈련 교육 등은 이채원씨가 한국생활에 적응하는 데 가장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했다. 현재 안정된 삶을 찾았어도 센터에서 운영하는 '찌엠봉사단'(베트남 결혼이주여성으로 구성된 봉사단)에 소속되어 환경보호, 어르신 무료 급식 나눔 등 지역사회를 위해 꾸준히 공헌활동에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채원씨는 "도움만 받던 내가 지금은 센터를 통해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어서 큰 보람을 느끼고, 나누는 삶은 나를 더 행복하게 만드는 것 같다" 면서 "아산시가족센터의 도움이 없었으면 한국 생활 정착이 더욱더 어려웠을 것"이라고 털어놨다.



마지막으로, 이채원씨는 현재 다니고 있는 대학을 졸업하고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피부관리, 네일 등 뷰티샵을 운영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아름다움을 선물하고 싶은 꿈이 있다고 전했다. 아산=이지은 명예기자(베트남)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