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중도일보에 ‘3분경영’ 연재하는 홍석환 HR 전략컨설팅 대표

  • 사람들
  • 뉴스

[인터뷰]중도일보에 ‘3분경영’ 연재하는 홍석환 HR 전략컨설팅 대표

19번째 책 <바보야, 평가가 아니라 성과관리야> 출간
평가와 기업 성과에 가장 큰 영향력 주는 팀장과 임원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

  • 승인 2024-09-03 18:18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홍석환 원장




“조직을 한단계 ‘업’ 시키는 평가 관리의 비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중도일보 19면에 매주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마다 ‘3분경영’ 칼럼을 연재하고 있는 홍석환 HR 전략컨설팅 대표가 이렇게 말했다.



홍석환 대표는 “2024년 19번째 책 <바보야, 평가가 아니라 성과관리야>가 출판되었다”며 “평가와 기업의 성과에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팀장과 임원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라고 강조했다.

홍 대표는 “평가자 교육을 담당하면서 많은 임직원이 평가는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힘들어 한다”며 ““이 책은 어떻게 하면 공정성을 높여 조직과 구성원이 성장하고, 회사가 성과 창출을 할 것인가 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해드린다”고 밝혔다.

홍 대표는 “이 책은 목표, 과정 관리, 평가의 3요소에 대한 핵심 실행 방안, 상황별 사례 중심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다”며 “책은 8월 29일부터는 교보문고에 연락하면 구입할 수 있고, 전국 서점에는 9월 5일 이후 배포될 예정”이라고 안내했다.

noname01
홍 대표는 “팀원을 평가하는 사람이 아닌, 감동을 주는 성과 관리자가 되어라”고 강조하며 “ '순위 매기기'가 아닌 '성과관리'를 하라”고 조언했다.

홍 대표는 이어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주기적으로 조직 전체의 성과와 각 직원에 대한 평가 관리를 실시하지만 많은 기업에서의 성과관리와 직원평가는 단순히 1년에 한두 번 있는 이벤트로만 생각되기 십상이고, '다른 기업에서 하니 어쩔 수 없이 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특히 “실제로 직원평가를 시행하는 팀장급 관리자들조차도 평가를 본업에 방해되는 귀찮은 이벤트 정도로 생각하며, 평가로 인해 일어나는 직원들 사이의 갈등과 불만 표출에 연루되고 싶지 않아 평가에 매우 미온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홍 대표는 “30여 년간 HR(Human Resource) 분야를 연구하며 삼성그룹에서 17년, LG정유(GS칼텍스)에서 8년, KT&G에서 6년 등의 인력관리 업무를 수행했고, 현재는 전경련, 경총, 인사협회, 여러 기업 등지에서 HR 전반과 성과관리, 리더십 등에 대해 연간 100회 이상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며 “신간 <바보야 평가가 아니라 성과관리야>를 통해 기업의 성과관리와 평가 계획에 대해 명쾌하고 설득력 있는 통찰을 던져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에서 직원을 평가한다고 하면 보통 단순히 특정한 기준에 따라 직원의 서열을 매기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며 “특히 직원평가의 결과는 승진, 인센티브 지급, 질책 등의 인사조치와 직결되기 때문에 많은 관리자들, 심지어 CEO들조차도 단순히 이러한 인사조치를 위한 도구로 평가를 인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홍 대표는 “기업의 직원평가는 단순히 직원들을 등급별로 나누어 인사조치를 시행하기 위한 도구가 아니며, 일 년에 한두 번 시행하는 피곤한 이벤트도 아닌, 기업 전체의 성과를 관리하는 아주 중요한 과정이며 미래를 내다보고 세심하게 계획을 짜서 운용해야 하는 중대 업무”라고 강조했다.

홍 대표는 “제1장 '왜 지금 성과관리인가?'는 많은 직장인들이 오해하고 있는 직원평가와 성과관리의 진정한 정의와 필요성을 정의 내리고, 제2장 '국내기업의 평가 관련 7가지 딜레마'는 국내 기업환경에서 '성과관리'가 귀찮은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 현실을 짚었다”고 소개했다. 또 “제3장 '성과관리의 성공비결 24가지'와 4장 '성과관리 상황별 조치'는 목표 설정, 과정 관리, 평가 차원에서 기업의 팀장급 관리자들이 반드시 숙지해야 할 실천적 요소들을 상황별로 다뤘다”고 안내했다.

1000616876541_i1_1200
한편 홍 대표는 충남대와 고려대 경영학 석사 후 ROTC 22기로 임관했고, 고려대 경영학과에서 인사조직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17년부터 현재까지 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대표를 맡아 활동 중이다. 현재 신용보증기금 자문위원과 한국인사관리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전 인사혁신처, 서울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포스코 인사 자문, 숙명여대 평의회 위원, KT&G 인재개발원장, GS칼텍스 인사기획팀장,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을 역임했다.

저서로 <왜 모두가 그 상사와 일하고 싶어하는가>, <취업의 비법>, <임원의 품격, 꿀팁 50가지>, <어떻게 하면 중소기업이 대기업이 될 수 있나>,<인간관계가 답이다>, <어서와~ HR은 처음이지?>, <나는 리더인가 >, <나도 임원이 되고 싶다>, <사장이 붙잡는 김팀장>, <강한 회사를 만드는 인사전략>, <신입사원은 무엇으로 성장하는가>,<회사를 키우는 실행의 힘> 등 다수가 있다.

활발한 기고와 강의 활동을 하고 있는 홍 대표는 전경련, 경총, 인사협회, 기업 등에서 HR 전반, 성과관리, 리더의 역할과 조직관리 강의를 연 100회 이상 했고, 2005년부터 매년 5명 기업 인사담당자 멘토링과 취업 특강, 면접을 진행했다. 또 인사 자문과 컨설팅, 임원 과 임원 후계자 코칭을 진행했다. 중도일보 '홍석환의 3분 경영' 칼럼니스트, 인살롱, 매경닷컴 필진, 한경닷컴, '홍석환의 인사 잘하는 남자' 칼럼니스트로 지금까지 560여 편의 기고와 칼럼을 써왔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4.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5.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1.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2.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5. '제5회 SDGs 소셜벤처 챔피언십'서 목원대 학생 2팀 수상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