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가격 안정화 되찾나... 대전 한 포기당 6000원대로 '뚝'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배추 가격 안정화 되찾나... 대전 한 포기당 6000원대로 '뚝'

대전 배추 평균 소매가 8000원대서 6000원대로 안정세
11월부터 본격적인 가을배추 출하로 가격 인하세 전망

  • 승인 2024-10-27 12:11
  • 수정 2024-10-27 16:35
  • 신문게재 2024-10-28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장바구니
포기당 8000원대를 넘어섰던 대전 배추 소매가가 6000원대로 낮아지며 안정화로 접어들고 있다. 다만 지난해보다는 20%가량 인상된 수준이어서 김장철을 앞둔 주부들의 부담은 여전한데, 11월부터 공급이 본격적으로 늘어나면 가격이 예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25일 기준 대전의 배추 1포기 평균 소매가는 6310원으로, 한 달 전(9581원)보다 34.14% 인하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 배추 소매가는 9월 19일 1만 3350원까지 치솟은 뒤 10월 중순까지 8000원대를 유지했다. 그러다 24일부터 6000원대로 하락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가격 내림세가 이어지고 있다.



그간 배추 가격이 인상세가 거듭된 데는 가을배추가 본격적으로 출하되기 전 일시적인 공급 부족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긴 폭염과 가뭄 등이 겹치면서 여름철 생산되는 고랭지, 준고랭지 배추 작황이 부진해 공급량이 감소한 원인도 한몫했다.

김장철을 앞두고 배춧값이 하락세를 보이지만 여전히 지난해 이맘때보다는 비싼 가격으로 책정되고 있다. 1년 전 대전 배추 평균 소매가는 5103원으로, 현재는 23.65% 비싼 수준이다. 평년 가격(4912원)과 비교해도 28.46% 오른 값이다. 평년 가격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이다.



김장 필수 재료인 무 가격도 부담되긴 마찬가지다. 대전의 무 1개 평균 소매가는 25일 기준 4300원으로, 한 달 전(3954원)보다 8.75% 올랐고, 1년 전(2163원)보다는 98.8%나 치솟았다. 평년(2623원)보다는 63.93% 올랐다. 무 역시 긴 폭염과 가뭄 등의 영향을 받아 공급량이 감소한 게 원인이다.

배추와 무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11월부터는 가격은 평년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김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11월 이후 최근 출하되는 가을배추가 늘면서 공급이 제때 이뤄질 것이란 게 업계의 분석이다. 여기에 정부가 소비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김장철 성수기 배추 2만 4000톤과 무 9100톤을 시장에 공급하기로 하면서 가격 안정화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또 마트와 전통시장 등지에선 12월 4일까지 농산물을 최대 40% 할인하는 행사를 시작하며 안정세를 찾아갈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가을배추 상품 출하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김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11월엔 안정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대전만 없는 `공립형 대안학교`… 학교설립 공약 끝내 실패

대전만 없는 '공립형 대안학교'… 학교설립 공약 끝내 실패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10여년 숙원이었던 공립형 대안학교 설립 공약이 결국 이행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지 확보에 오랜 시간을 소모했지만 끝내 추진에 실패하면서 차기 교육감의 과제로 넘어가게 됐다. 20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올 초까지 추진했던 유성구 복용동 설립이 결국 무산됐다. 당초 AI 특성화 대안학교를 설립하려던 계획이었지만 교육부가 1월 중앙투자심사에서 대안교육 중심의 학교 설립을 주문하면서 제동을 걸었다. 대안학교 성격을 변경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자 교육청은 주민 설득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다른 부지를 알아보겠다고 물러..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