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공론] 조선시대 선조들의 은밀한 사생활, 춘화로 엿보다

  • 오피니언
  • 문예공론

[문예공론] 조선시대 선조들의 은밀한 사생활, 춘화로 엿보다

최정민/평론가

  • 승인 2024-12-01 14:2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조선 시대에는 21세와 같이 미디어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현재의 야한 동영상이 없던 시대였다. 그러나 조선시대에도 조선시대 판 성인물 잡지 격인 춘화(春畵)가 이 자리를 대신하였다. 춘화는 남녀 간의 성교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서, 조선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그려졌다. 중국과 일본의 춘화는 조선 중기부터 사료에 언급되기 시작한다. 선조들은 춘화와 춘의(春意; 남녀가 성행위를 하는 모습을 새긴 상아나 조각)를 보고 부정적인 시각이 강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인조연간(仁祖, 재위 1623-1649) 명나라 장수 모문룡(毛文龍, 1576-1629)이 인조에게 춘의를 예물로 보내자, 인조는 이를 가루를 내서 부셔 버리라는 전교를 내릴 정도였다. 김정중(金正中)은 1791년에 개인적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사람이었다. 그의 연행 기록 중 '유리창(琉璃廠, 現 베이징 화평문 바깥 골동품 거리)에는 사면(四面)의 벽에 춘화도(春花圖)를 붙여 놓고 돈을 받고 판매한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이는 춘화가 중국 시장에서 수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반면 조선의 춘화는 중국과 일본과 달리 다소 늦은 19세기 전반경에 김홍도와 신윤복에 의해 그려지기 시작하였다.



조선 후기는 상업이 발달하였고, 공사무역을 통한 외래문화가 유입된 시기이다. 특히 조선의 수도 한양에서는 유흥과 여가문화가 성행하였다. 조선 후기 사회적 변화와 함께 유교 분위기에 짓눌린 선조들의 성적(性的) 열망과 본능이 춘화의 부흥기로 이끌어 냈다. 선조들은 유교적 규범에 얽매여 있었고 욕구를 해소하기 위해 춘화 감상을 선택한 것이다. 춘화는 당시 유교의 도덕 개념으로 바라보았을 때 파격적이다. 그래서일까, 전해지는 춘화의 수는 그리 많지 않다.

단원 김홍도의 낙관이 있기에 그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운우도첩(雲雨圖帖)』과 혜원 신윤복의 『건곤일회도첩(乾坤一會圖帖)』화첩에는 다양한 성행위의 장면이 담겨 있다. 남녀의 성희(性戱; 성적 쾌락을 목적으로 하는 놀이)를 소재로 한 춘화에는 풍류와 낭만이 담겨 있기도 하다.



1번
(그림 1) 전(傳) 단원 김홍도, 『운우도첩』, 19세기 전반경, 개인 소장
김홍도의 『운우도첩』은 남녀의 모습을 묘사하면서도, 꽃이 만발한 조선의 자연 풍경을 배경으로 그려 넣어 품격을 높였다. (그림 1). 단순히 '야한 그림'에서 벗어나 안정적인 회화적 조형미가 더해져 조선시대의 품위와 예술성이 엿보인다. 이 작품은 노골적으로 묘사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해지고 있는 대다수의 춘화는 노골적이다. 등장인물은 양반을 비롯하여 양반가 여인, 기생 그리고 스님 등 다양한 신분이 등장한다.

이 외에도 3인의 성관계, 동성애 혼교, 관음증과 같은 장면 등을 묘사한 작품도 존재한다. 장소는 실내와 실외 가리지 않고 그려졌다. 등장인물은 신분을 강조하기 위해 스님의 경우 승복을 옆에 널브러뜨렸고, 양반은 사방관 등으로 그 신분을 가늠케 표현하였다. 조선의 춘화는 중국, 일본과 달리 등장인물의 신분 제약이 없다. 따라서 춘화는 조선시대의 억압적인 사회제도와 신분 갈등의 모순까지 담아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춘화는 수요자의 직접적인 주문을 받아서 그려졌다고 알려져 있다. 즉 어느 정도의 부를 가지고 있는 상류층의 주문에 의해 비밀리에 그려졌고, 이를 통해 은밀한 사생활을 즐겼던 '에로틱 물건'이었던 셈이다.

춘화는 그림을 보는 이로 하여금 상상의 나래를 펼치도록 철저하게 계산되어 그려졌다. 조선시대의 춘화는 현대의 야동과 같이 말초신경만을 자극하지 않는다. 춘화는 예술과 외설 사이를 오가며 아슬아슬 줄타기하는 듯한 연출이 으뜸이다. 선조들의 낭만과 욕망을 예술로 승화 시켰던 춘화는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폐쇄적이었던 조선시대의 인간 군상을 다루었다는 것에 대해 그 의미가 크다.

최정민/평론가

최정민
최정민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2.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3.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4.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5.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1.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