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대전 2016 : 코스모스 포스터 (사진=대전시립미술과 제공) |
첫 번째 섹션 <우주 역사와 사건>은 노치미치 히라가와(Norimichi Hirakawa), 한호의 작업을 통해 '우주란 무엇인가'에 대한 과학적 의문을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철학적 물음과 연결했다. 이어서 <우주 시그널>에서는 해인즈&힌털딩(Haines & Hinterding), 트로이카(Troika), 세미컨덕터(Semiconductor) 가 외계지적생명체가 보내왔을지 모르는 우주전파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노력과 우주에서 보내오는 다양한 신호에서 영감을 받은 예술의 언어를 선보였다. <행성탐험>은 태양계의 신비를 풀기 위한 인간의 '호기심'과 '기술'에 기반해 아그네스 마이어(Agnes Meyer), 아담 노튼(Adam Norton), 댄 굳즈(Dan Goods)의 작업을 통해 행성을 탐사하듯 우주를 산책했다.
네 번째 섹션 <우주와 공간>은 런던기반 그룹 루프닷피에이치(Loop.ph)가 재현한 9000개의 별과 행성으로 가득한 일종의 우주 휴양지에서 사색하게 했다. 다섯 번째 섹션에서는 김윤철과 폴 프리들랜더(Paul Friedlander)와 함께 우주의 물질 관찰을 비롯해 물질 간 운행을 간섭하고 주관하는 과정을 통해 '물질로서의 우주'을 살펴보았다. 전시는 문경원·전준호, 빈센트 & 로렌스 말스타프(Vincet & Lawrence Malstaf)의 작업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 중인 우주 그 이후와 지구의 미래에 대한 고민을 공유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이처럼 《프로젝트대전 2016 : 코스모스》는 과학예술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인식의 과잉과 결핍의 상황을 넘어 과학적 이해의 바탕 위에서 예술적 상상과 창의를 실천하는 것임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아그네스 마이어와 해인즈&힌털딩의 새로운 작업은 현재 진행 중인 대전과학예술비엔날레 <너희가 곧 신임을 모르느냐>에서도 만나 볼 수 있다.
/우리원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