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정시] 경쟁률 3대 1 미만 충남 6, 충북 4, 대전 1, 세종 0… 전년보다 줄어

  • 사회/교육
  • 교육/시험

[2025 정시] 경쟁률 3대 1 미만 충남 6, 충북 4, 대전 1, 세종 0… 전년보다 줄어

충청권 39개 대학 지원건수 전년비 0.8% 감소… 충남은 7.5% 증가
정시 '수도권 쏠림' 심화… 종로학원 "의대 증원으로 상향지원 한듯"

  • 승인 2025-01-12 17:23
  • 신문게재 2025-01-13 1면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표1
2025학년도 대입정시 충청권 지원상황. /종로학원 자료제공
2025학년도 대입 정시모집에서 충남지역 지원 건수가 증가한 반면, 대전·세종·충북에서는 감소세를 보였다. 정시 미달로 간주하는 경쟁률 3대 1 미만 대학은 충청권 11곳으로 전년도 15곳에서 4곳이 줄었다.

12일 종로학원이 전국 202개 대학의 2024∼2025학년도 정시 지원 건수를 분석한 결과 2025학년도 정시에서 수도권 대학 지원은 전년보다 6222건이 증가했지만 비수도권은 3593건이 줄어 수도권 쏠림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권 39개 대학엔 7만 5026건의 지원해 전년도 7만 5594건보다 568건이 줄어든 -0.8%의 감소율을 보였다.

충남지역(16곳) 대학은 2024년 3만279건에서 2025년 3만2552건으로 2273건 증가해 7.5%의 비수도권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대전(11곳)은 1만 8843건에서 1만 7364건으로 1479건 줄어 -7.8%의 감소율을 나타냈고, 충북(10곳)은 1만 8937건에서 1만 7628건으로 1309건(-6.9%) 감소했다. 세종(2곳)도 7535건에서 7482건으로 53건(-0.7%) 줄었다.



3대 1 미만의 경쟁률을 보이는 대학 수는 충남과 대전에서 각각 2곳씩 감소했다. 충남은 8곳에서 6곳, 충북은 4곳 유지, 대전은 3곳에서 1곳으로 줄었다. 세종은 0곳이다.

표2다시
전국 3대 1미만 대학수. /종로학원 자료제공
종로학원은 의대 모집정원 확대와 수도권 대학에 대한 지원 집중 현상으로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울권(41곳) 대학의 지원 건수는 전년도 18만 9005건에서 19만 4169건으로 5164건 증가해 2.7%의 증가율을 보였다. 경인권(42곳)도 1058건 증가해 1.0%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비수도권(119곳) 대학은 20만 6781건에서 20만 3188건으로 3593건 줄어 1.7% 감소율을 나타냈다.

정시 지원 횟수 3회 감안시 미달로 간주할 수 있는 3대 1 미만 대학은 56곳으로 87.5%인 49곳이 비수도권 대학이다. 부산 8곳, 경북 7곳, 경남 6곳, 광주 6곳, 충남 6곳 등 12개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대구, 세종, 울산, 인천, 제주는 2년째 3대 1 미만 대학이 없다.

종로학원 22y
2025학년도 전국대학 정시 지원상황. /종로학원 제공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모집정원 확대는 최상위권 학생들이 의대로 집중 지원하게 만들었고, 이는 수도권 대학 지원 증가와 지방권 대학 지원 감소로 이어졌다"라며 "이러한 현상은 정시에서 상위권 대학 지원 경향을 더욱 뚜렷하게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최종 정시 등록 기간 내 정시 인원을 채우지 못하는 지역대가 상당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학년도에는 전국 169개 대학에서 1만 3148명의 추가 모집이 발생했으며, 이 중 88.2%가 비수도권 대학이었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4.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5.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1.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2.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3. 대전권 14개 대학 '늘봄학교' 강사 육성 지원한다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충남도의회, 홍성의료원장 인사청문… 업무 수행 능력 등 다각도 검토

헤드라인 뉴스


갑천에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