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충남 출생아 소폭 증가… 충북은 감소세 지속

  • 정치/행정
  • 대전

대전·세종·충남 출생아 소폭 증가… 충북은 감소세 지속

대전 지난해 11월 처음으로 출생아 수 증가
세종 출생아 수 증가율 5.6%로 전국 2위

  • 승인 2025-01-23 17:13
  • 수정 2025-01-23 17:30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PYH2023121706510001300_P4
사진=연합뉴스
대전·세종·충남의 출생아 수가 작게나마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날 발표한 인구동향에서 지난해 1~11월 대전 지역 출생아 수는 모두 6695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1월(3.3%)을 제외하고 줄곧 감소세를 이어오던 대전 출생아 수가 11월 들어 증가세로 전환된 결과다.



특히, 3월(-6.2%) 최저치를 기록했던 대전 출생아 수는 이후 4월(-6.0%), 5월(-5.7%), 6월(-5.9%), 7월(-4.6%), 8월(-3.5%), 9월(-1.6%), 10월(-0.1%) 등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다가 11월 0.1%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세종시 출생아 수도 9월부터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11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5.6% 상승하며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곳은 인천(11.2%)이었다.



한편, 전국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 이후 다섯 달 연속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11월 출생아 수는 2만 95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6%가 증가했다. 5개월 연속 출생아 수가 늘어난 것은 2015년 3~7월 이후 9년 4개월 만에 처음이다. 서울과 인천 등을 위주로 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지방의 속도는 조금 느린 편이다.

충남은 지난해 7월부터 상승세를 유지 중이다. 7월 1.4% 증가율을 시작으로 8월 3.0%, 9월 2.7%, 10월 3.4%, 11월 3.9% 등 비교적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충북은 감소세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충북 출생아 수는 2023년 상승세를 유지했으나, 지난해에는 -1.4~-7.5% 사이를 오가며 하락세를 이어갔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