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다문화] 선택받은 한민족을 지켜주세요!

  • 다문화신문
  • 천안

[천안다문화] 선택받은 한민족을 지켜주세요!

자신의 영혼의 씨앗을 조선(朝鮮)에 묻은 Ruby Kendrick 선교사 희생을 기억하며...
“만약 내게 줄 수 있는 천 개의 생명의 있다면 나는 천 개의 생명을 모두 조선을 위해 바치겠습니다.”

  • 승인 2025-03-16 10:54
  • 신문게재 2024-12-29 50면
  • 충남다문화뉴스 기자충남다문화뉴스 기자
오늘날, 저를 포함한 누구라도 같은 감정과 같은 결심을 공유할 수 있을까? 루비 켄드릭은(1883-1908), 1907년 인천 송도에서 사역한 후 한국에서 9개월간 선교사로 희생 봉사하다 급성맹장염으로 25세의 청춘을 소천해서, 서울 마포구 양화진에 외국인 선교사 묘원에 있다.

그녀는 죽음을 앞두고 자기를 파송한 텍사스 청년단체에 편지를 보냈다. "만일 내가 죽으면 텍사스 청년회원들에게 열 명씩, 스무 명씩, 오십 명씩 아침저녁으로 조선에 나오라고 전해주세요." 그녀가 부모님께 보낸 마지막 편지의 일부다. "이곳은 참 아름다운 곳이다. 모두들 하나님을 닮은 사람들 같아. 선한 마음과 복음에 대한 열정으로 보아 아마 몇 십년후 조선은 주님의 사랑이 넘치는 곳이 될 것 같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탄압이 점점 심해지고 있다. 선교본부에서는 다들 철수하라고 했지만,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자기들이 전도한 조선인들과 아직도 숨어서 예배를 드리고 있다. 오늘은 유난히도 집에 가고 싶다. 저는 이 땅에 저의 심장을 묻겠다. 바로 이것은 조선에 대한 제 열정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조선을 향한 열정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빠, 엄마∼ 사랑합니다."



우리 모두 사랑의 빚진 자들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빛은 동쪽에서 오는 朝鮮, Morning Calm, 선을 위해 노력하고 악을 이기고, 예절을 갖추고, 시련을 겪으며 붉은 피를 흘리는 민족, 제사를 지내고 하늘 공경하면서 머리에 갓(God)을 쓰고 다니는 조선(Chosen people), 무궁화 꽃이 피는 나라, 꿈은 평화통일이 아닌가? 세계가 존재조차 모르는 나라를 구하기 위해 유엔 16개국이 달려오지 않았는가? 이제 모든 자유의 가치를 옹호하는 '종교의 자유'는 가장 기본이며 이를 느끼는 한국인들은 이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왜냐하면, 자유는 '정부'가 주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우리의 희생의 길이 헛되지 않도록 모든 사람의 사랑과 정을 물려받은 우리. 2025년은 창조주께서 선택하시고 보호하시는 이 나라를 청뱀(靑뱀)의 지혜로 뜯어고치고 밝고 찬란하게 재창조되어, 분투하는 대한민국이 이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해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베이죠소랑쥬 명예기자 (벨기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