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8305명 유급, 46명은 제적… 수업참여 34.4% 그쳐

  • 사회/교육
  • 교육/시험

의대생 8305명 유급, 46명은 제적… 수업참여 34.4% 그쳐

교육부, 40개 의과대학 유급·제적 현황 발표… 재학생의 42.6% 유급
성적경고 예상 3027명·1과목만 수강 1389명 포함시 1만 2767명 달해
내년 1학년 6천여명, 교육부 "복수학번 동일학년 교육 대비, 신입생 우선"

  • 승인 2025-05-09 18:13
  • 수정 2025-05-09 18:52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20250319-한산한 의과대학3
중도일보 DB
전국 40개 의과대학 재학생 46명이 제적되고 8305명이 유급 대상자로 확정됐다. 학기 말 성적경고 예상자 등을 포함하면 1만 2767명에 달해 수치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9일 교육부가 발표한 '전국 40개 의과대학 유급 및 제적 대상자 현황'에 따르면, 의대생 1만 9475명 중 42.6%에 해당하는 8305명이 유급, 0.2%인 46명이 제적될 예정이다.

예과 과정에 유급이 없는 대학의 경우, 2025학년 1학기 이후 성적경고 예상 인원은 3027명(15.5%)으로 나타났다. 또 1학기 등록 시 1개 과목만 수강 신청해 사실상 복귀하지 않은 학생(기타)도 1389명(7.1%)에 달했다.

1학기에 최대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학생은 6708명(34.4%)에 그쳤다. 성적경고 예상자와 기타사유 중 예과 과정 3650명의 경우 올해 2학기에 수업 참여가 가능하고 1학기에 미이수한 학점을 보충할 경우 정상 진급이 가능하다.



예과 과정에서는 전체 9108명 중 2455명이 유급 예정이고, 14명이 제적될 예정이다. 성적경고가 예상되는 인원은 2901명이며, 기타 사유는 749명이다. 본과 과정에서는 전체 1만 367명 중 5850명이 유급 예정이며, 32명이 제적 예정이다. 성적경고 예상 인원은 126명, 기타는 640명이다.

각 대학은 학칙에 따라 소명 절차를 거쳐 이들을 처리할 계획이다.

충남대의 경우 24학번이 전원 복귀해 제적 대상은 없는 것으로 알려진다. 24학번이 2학기 수업 참여로 정상 진급할 땐 내년 24·25·26학번이 동시에 1학년 교육을 받게 되는 트리플링은 막을 수 있다. 다만 25·26학번 더블링 상황에 대한 분반과 학사일정 조정 등 대책이 요구된다.

건양대는 학칙상 1개월 이상 무단결석으로 제적 통보 대상이 된 264명이 7일 수업에 복귀해 제적 확정자는 없지만, 다음 주 학생들의 소명서를 받아 최종 처리할 방침이다. 을지대도 제적 통보를 받은 299명 중 대다수가 마감 기한인 7일 수업에 복귀했으나, 다시 수업거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교육부는 대학별 유급·제적이 확정됨에 따라 각 대학과 협력해 학업에 복귀한 학생들이 정상적으로 교육받을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가칭 '의학교육위원회'를 구성·운영해 의대 교육 정책에 학생들을 포함한 의학교육계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기로 했다.

특히, 교육부는 2학기에 1학년 475명이 복학할 예정으로 내년 1학년 수는 6000여 명이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동일 학년에 복수 학번의 동시교육 상황을 대비해 신입생이 우선적으로 교육받을 있도록 하는 등 면밀히 준비하겠다는 입장이다.

의대 학장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지금부터 학업에 복귀한 학생들이 안심하고 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어려운 결정 끝에 복귀한 재학생은 흔들림 없이 학업에 임해달라"고 밝혔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골프협회, '2025 천안시장배 및 협회장배 골프대회' 성료
  2. 천안시, 아동학대 대응·보호 협력체계 강화…민관 합동 워크숍
  3.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4. 세명전기 김광숙 대표, 천안시 성남면에 성금 100만원 전달
  5.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1.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2.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3.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4.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5.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1일부터 이재명 정부 첫 정기국회에 돌입하면서 충청 발전을 견인하기 위한 골든타임에 돌입했다는 지적이다. 행정수도특별법과 대전충남특별법 등 연내 통과는 물론 대정부질문을 통해 이재명 정부를 상대로 충청 현안 관철을 확답받을 수 있도록 지역 민·관·정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전 트램 등 현안 예산 증액도 이번 정기국회에서 발등의 불인데 한층 가팔라진 여야 대치로 충청 현안들이 뒷전으로 밀리는 것은 경계해야 할 지점이다. 국회는 1일 오후 2시 본회의장에서 정기국회 개회식을 열고 100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같은 달 9·1..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