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재수 장관이 이날 정부세종청사 해수부동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해수부 제공. |
그럼에도 공직사회의 불편한 시선과 업무 비효율, 행정수도 완성에 역행 우려는 완전히 씻어내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9월 11일 이재명 정부 출범 100일을 맞아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부산~세종~서울'로 삼원화되는 업무 비효율 구조는 일부 인정하면서도, 직원들을 위한 업무 및 정주 환경 최적화에 진력을 다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이날 해수부의 부산 이전에 대해선 다시금 이해를 구했다.
국가 정책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가진 중앙부처가 정부세종청사를 떠나 부산에 나홀로 배치되는 게 비효율이고, 정책 품질의 저하를 가져올 것이란 우려를 염두에 뒀다.
전 장관은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행정중심도시 추진이란 큰 흐름을 전혀 훼손하지 않는다"라며 "5~10년 전엔 상상력으로도 동원하지 못했던 일들이 북극에서 일어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론 각축전 양상이다. 북극항로 시대를 선점하고 잘 대응하기 위한 특별 임무를 가지고 내려가는 예외적 조치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수도권 1극 체제가 5극 3특이란 다극체제로 전환되고, 해수부는 해양수도권 구축을 통한 확장의 의미라는 인식도 내보였다. 1000여 명 안팎의 직원 대이동에 따른 불편함도 최소화하겠다는 의지도 피력했다.
정권이 바뀌면, 또 다시 이 같은 기조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답했다.
그는 "해수부 이전은 공약 사항이다. 직원 850명 전부를 다 만나겠다는 자세로 조직을 가동하고 있다. 어떤 정부가 들어서고, 장관이 누구든지 북극항로와 해양수도, 인근 지역을 묶은 해양수도권 조성은 흔들림 없이 추진돼야 한다. 법에 명시해야 한다는 의견에도 동의한다"라며 "진보·보수정권 할 것 없이 국가의 중요한 성장전략으로 추진 안 할 수가 없다. 이제는 돌이킬 수 없는 흐름"이라고 주장했다.
직원들의 애로사항이 매우 크고, 업무 비효율과 불편함 발생도 인정했다. 장관의 재량 아래 영상과 온라인으로 업무 협의 확대, 재택근무 최대한 허용 등의 보완책도 제시했다. 중앙 및 지방부터 장관 역할까지 가능한 경우의 수를 최대한 지원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새 정부가 해수부 이전과 해양수도권 구축과 별개로 흔들림 없는 '행정중심도시' 추진에 나설 것이란 점에도 확신을 드러냈다.
![]() |
정부세종청사에서 해수부가 빠지면서, 국가 정책 비효율 우려를 키우고 있다. 사진=중도일보 DB. |
하지만 전 장관의 이 같은 입장 피력에도 불구하고, 공직사회와 정치권의 의구심을 완전히 떨쳐내기엔 아쉬운 부분들을 노출했다.
우선 2026년 6월 지방선거에서 그의 부산시장 출마가 공공연한 사실로 전해지고 있고, 해수부는 이 과정의 정류장이 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또 이날 '해양수도'란 표현을 반복하면서도, '행정수도'란 가치와 위상에 대한 언급이 빠지면서다. 여전히 행정중심도시란 축소된 개념으로 인식을 보여줬다. 행정수도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도 분명히 적시돼 있다.
직원들의 업무 효율화 방안도 대안과는 거리가 멀었다. 2012년 세종청사 개청 당시부터 이미 영상회의 시스템을 갖추고도, 지난 10여 년 간 왜 '길국장·길과장'이란 자조섞인 여전히 회자되고 있는 지부터 살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과 국회의 업무 처리 관행과 수도권 중심적 사고가 바뀌지 않는다면, '부산~세종~서울'로 이어지는 삼원화·삼중고가 국가 정책 품질 저하로 이어질 전망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이날 기자간담회 모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