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는 16일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와 '양자산업 활성화 및 국내 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이영은 AWS 월드와이드 교육 담당 수석 고객 담당 임원, 비나브 세티(Abhinav Sethi) AWS 아시아태평양 지역 공공부문 기술 총괄, 윤정원 AWS 코리아 공공부문 대표, 이장우 대전시장, 손철웅 미래전략산업실장, 김우연 TP원장> 사진제공은 대전시 |
양자는 컴퓨터, 통신, 센서 등 차세대 정보통신기술로 활용돼 안보 기능에 혁신을 가져올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컴퓨터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빨리 연산할 수 있는 양자컴퓨터는 AGI(범용인공지능)의 열쇠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이러한 능력은 신약 개발, 신소재 설계, 배터리 효율 예측 등 양자 수준의 정밀한 시뮬레이션이 필요한 분야에 특히 유용하다.
양자 산업이 각광을 받으면서 각 지자체들도 미래 먹거리로 점찍고 육성에 나서고 있다. 충청권 광역자치단체도 마찬가지다.
대전시는 6대 전략산업의 한 축인 양자를 적극 육성하고 있다. 16일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와 '양자산업 활성화 및 국내 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윤정원 AWS 코리아 공공부문 대표, 아비나브 세티(Abhinav Sethi) AWS 아시아태평양 지역 공공부문 기술 총괄 등이 참석했으며, 양측은 ▲양자기술 실증 ▲산업화 지원 ▲인재양성 ▲글로벌 연계 등 전 주기 협력체계 구축에 합의했다.
시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지역 내 인력, 출연기관, 연구산업단지 기업을 포함한 기존 양자 인프라에 AWS의 글로벌 플랫폼을 제공해 양자기술 실증, 전환, 확산에 이르는 전 주기 생태계를 구현하여 양자 산업화 시대를 본격적으로 대비한다는 전략이다.
대전시는 21대 대선 공약 반영을 위한 과제에도 대덕 양자클러스터 구축이 포함돼 있다. 시는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2028년까지 퀀텀 플랫폼 기능을 수행할 '대덕 양자클러스터'를 조성해 양자기업·대학·출연연의 집적·융합을 통한 양자기술 연구개발, 창업, 산업화 지원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2월에는 프랑스 양자컴퓨팅 기업 '파스칼(PASQAL)'과 대덕양자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세종도 일찌감치 양자를 전략산업을 밀고 있다. 집현동 4-2생활권 공동캠퍼스·세종테크밸리 일원 86만㎡에 조성될 '양자연구단지(퀀텀빌리지)'는 양자 분야 연구개발과 기술 상용화를 촉진하는 특화 공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또 큐에라컴퓨팅과 아이온큐 같은 글로벌 양자컴퓨팅 전문 기업과 양자산업 관련 스타트업·첨단기업도 유치할 방침이다.
충남은 관련 조례를 만들고, 공모사업을 중심으로 양자산업 선점에 나서고 있다.
충북은 지자체 최초로 상용 양자컴퓨터를 도입한 충북양자연구센터를 운영하는 등 양자기술 연구의 최적시설인 방사광 가속기를 활용해, 양자 재료 및 소자 특화센터 구축, 도내 선도대학과의 인재양성 협력체계 구축, 양자기술과 충북 첨단산업 융합을 통한 양자 선도기업 육성 등을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충청권 지자체가 전략적으로 양자산업 육성 경쟁에 나서고 있지만, '글로벌'패권 경쟁이 필요한 첨단산업인 만큼 힘을 모을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역 경제계 한 인사는 "미래 산업이 국가전략 산업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자체들이 국비 확보 등을 위해 육성 경쟁에 나서는 경향이 크다"면서 "국내 인력과 자원은 한정돼 있는데 분산된다면 효과가 있을지 의문이다. 충청권은 메가시티를 지향하는 만큼 양자를 비롯해 산업 전반에 대해 역할 분담이나 시너지를 위한 협업 등을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