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제작, 시민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대전 DAW교육 개설

  • 문화
  • 공연/전시

음악 제작, 시민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대전 DAW교육 개설

대전음악창작소, 전문 장비·강사진으로 시민 창작역량 지원
MIDI 작곡부터 마스터링까지 5일 완성 실습형 강의
에이블톤 라이브 기반...시민 문화 창작 플랫폼 확대

  • 승인 2025-05-20 16:07
  • 김주혜 기자김주혜 기자
getImage
'2025 대시민 DAW교육' 포스터. 사진=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제공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산하 대전음악창작소가 시민 대상 컴퓨터 음악 제작 교육인 '2025 대시민 DAW교육'을 진행한다.

이번 교육은 6월 9~13일 5일간 매일 오후 7시부터 8시 30분까지 이뤄질 예정이다.



DAW(Digital Audio Workstation)는 디지털 환경에서 음악을 작곡·편곡·편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다. 이번 교육에서는 대중적으로 널리 쓰이는 '에이블톤 라이브(Ableton Live)'를 중심으로 한 ▲MIDI 작곡 ▲샘플링 ▲오토메이션 ▲믹싱·마스터링 등 음원 제작의 기초 전 과정을 배운다. 교육은 12명 정원의 소규모 실습 중심으로 진행되며, 별도의 장비 준비 없이 창작소 내부 장비를 활용한다.

image
강사 프로필. 사진=대전음악창작소 제공
강사는 대중음악 작곡가 '전채운(예명: FLIP)'이다. 그는 가수 이영지의 '암실', 가수 이츠의 '파도' 및 정규앨범 'WISH LIS', 가수 Youngcode의 '하루(feat. NO:EL)' 등의 작·편곡에 참여한 경력을 갖고 있다.



대전음악창작소 관계자는 "전채운 작곡가는 대중성과 실무 능력을 모두 갖춘 인물로, 시민들에게 실제 음악 창작 과정을 친숙하게 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강사로 적합하다고 판단해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전채운 작곡가는 "DAW를 처음 접하는 시민들도 음악을 어렵지 않게 즐길 수 있도록 이론보다는 샘플링 위주의 실습 중심 수업으로 구성했다"며 "에이블톤 라이브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덕분에 초보자도 쉽게 다룰 수 있어 시민 강의에 특히 적합한 도구"라고 말했다.

이번 수업은 2023년과 2024년에 진행된 '에이블톤 라이브 Basic/Step-up 클래스'의 연장선에 있다. 연도마다 2회씩 동일한 정원으로 운영됐으며 매 회차 약 15명이 신청해 평균 수료 인원 12명으로 마무리됐다. 올해도 총 4회(3회 9월, 4회 11월 예정)의 대시민 DAW교육이 예정돼 있으며 3월에는 청소년 대상 DAW교육도 별도로 진행됐다.

공식적인 이수자 혜택은 없지만, 2024년 수강생 요청에 따라 심화 과정 클래스가 기획된 전례가 있다. 대전음악창작소는 올해도 수요에 따라 추가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고 밝혔다.

신청은 대전음악창작소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선착순(12명) 접수 가능하며, 대전 거주자 혹은 대전 소재 학교 재학생임을 증빙할 수 있어야 한다.

대전음악창작소 박한 주임은 "음악을 좋아하지만 막상 시작하려니 어렵고 멀게 느껴졌던 분들에게 이번 교육이 좋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시민 누구나 음악 창작의 기쁨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주혜 기자 nankjh7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인사>대전시
  2.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3.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4.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5.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헤드라인 뉴스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K-스틸법' 국회 본회의 통과… 대한민국 철강산업 재도약 발판

침체를 겪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이른바, ‘K-스틸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가 경제의 탄탄한 동력을 확보하게 됐다. 충청 의원들이 대표 발의한 여러 민생법안들도 국회 문턱을 넘었으며, 여야 갈등의 정점인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도 국회 가결됐다. 국회는 이날 오후 본회의장에서 여야 합의로 상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탄소중립 전환을 위한 특별법안’(K-스틸법)에 대한 표결을 진행한 결과, 재석 의원 255명 중 찬성 245명, 반대 5명, 기권 5명으로 가결했다고 밝혔다. K-스틸..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국회 세종의사당` 토론회는 이제 그만...2026년 진짜가 온다
'국회 세종의사당' 토론회는 이제 그만...2026년 진짜가 온다

2004년 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 이후 희망고문을 반복해온 '세종시=행정수도'. 국민들 사이에선 '언제까지 토론회와 국회 논의만 반복할 것인가'란 반신반의가 여전하다.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한 정치권 인사들이 2026년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건설의 현실화를 선언하고 나섰다. 우 의장은 27일 오전 10시부터 서울 국회 여의도의사당 박물관 2층 국회 체험관에서 열린 '국회 세종의사당 토론회'에서 이 같은 의지를 분명히 했다. 앞서 2026년 5월 자신의 임기 내 '국제 설계공모' 마무리 약속 이행 의지도 재확인했다. 그는 일정상 대독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