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발로란트 챌린저스 결승전, 대전 단독 개최…5월 31~6월 1일 이틀간

  • 스포츠
  • e스포츠

2025 발로란트 챌린저스 결승전, 대전 단독 개최…5월 31~6월 1일 이틀간

대전 이스포츠경기장에서 열려
SLT·BNK·T1A 등 3팀 마지막 승부
팬사인회·굿즈존 등 체험 콘텐츠도 풍성

  • 승인 2025-05-29 15:58
  • 김주혜 기자김주혜 기자
clip20250529142431
'2025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스플릿 2(이하 VCK Split 2)'.사진=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 제공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결승전이 올해도 대전에서 단독 개최된다.

라이엇게임즈의 인기 FPS(1인칭 슈팅) 게임 '발로란트'를 무대로 펼쳐지는 '2025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스플릿 2'(이하 'VCK Split 2') 결승전이 5월 31일부터 6월 1일까지 이틀간 대전 이스포츠경기장에서 열린다. 대전은 2023년에 이어 두 번째로 VCK 결승전을 유치하며 국내 FPS 기반 이스포츠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VCK Split 2는 발로란트 국내 2군 프로리그이자, 상위 리그인 VCT 퍼시픽 진출을 향한 마지막 관문으로 그 의미가 남다르다. 이번 시즌에는 아카데미 3팀, 스플릿 잔류 3팀, 승강전 통과 2팀 등 총 8팀이 참가해 정규 시즌을 치렀으며 이 중 상위 6팀이 플레이오프 진출을 놓고 경쟁을 벌였다.

이후 치열한 승부 끝에 SLT Seongnam, BNK FEARX, T1 Esports Academy 등 총 3팀이 결승 주간에 올랐다. 이 중 SLT와 T1이 패자조 결승전에서 먼저 맞붙고, 승리한 팀이 결승전에서 승자조 우승팀인 BNK와 최종 트로피를 두고 격돌한다.



clip20250529142735
2023년 대전이스포츠경기장에서 진행된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스플릿1' 대회 현장.사진=대전이스포츠경기장 제공
특히 이번 대회는 현장 관객을 위한 다채로운 참여형 콘텐츠를 마련해 눈길을 끈다. 대전 이스포츠경기장 1층 포토월 공간에서는 인기 인플루언서들과의 팬사인회가 열린다. 31일(토)에는 구칠이(김태일), 1일(일)에는 콕끼리(박준영)가 각각 팬들과 만난다.

구칠이는 발로란트 전·현직 프로선수 출신이자 유튜브 구독자 16만 명 이상을 보유한 인플루언서이며, 콕끼리는 발로란트 인기 유튜버로 약 14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400여 명이 현장에서 관람할 수 있는 본 대회는 티켓링크를 통해 사전 예매 가능하며, 유튜브와 치지직, SOOP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생중계된다.

clip20250529142538
2023년 대전이스포츠경기장에서 진행된 '발로란트 챌린저스 코리아 스플릿1' 대회 현장.사진=대전이스포츠경기장 제공
이은학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장은 "대전이스포츠경기장이 개장 5주년을 맞이한 해에 발로란트를 통해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게 돼 뜻깊다"며 "대전시와 함께 충청권 이스포츠 기반을 확장해 지역의 미래 산업을 이끌어가는 핵심 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김주혜 기자 nankjh7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2.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3.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4. 대전 상장기업, 사상 첫 시총 76兆 돌파
  5.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1. 대전농협, 농업 재해 피해 현장 방문
  2. 항우연 곪았던 노노갈등 폭발… 과기연전 "우주항공청 방관 말고 나서야"
  3. 대전시, 통합돌봄시대 준비 본격화
  4. 세종시청 테니스부 존치… '남녀 4명' 축소 운영키로
  5. 한밭수목원'정원 속에 피어난 야생화'축제 열린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 생활폐기물 소각량 급증… 재활용률 줄고 매립량 전국 2위

대전 생활폐기물 소각량 급증… 재활용률 줄고 매립량 전국 2위

2050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국가적 목표 설정 및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 등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대전시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공공재활용시설이 필요해 보인다. 최근 대전연구원이 발표한 '대전시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발생 현황과 감축 방안'을 보면 대전시의 생활폐기물 소각량은 2022년 7만 9651.3톤으로 급증한 후 2023년 9만 6834.7톤까지 증가하는 등 증가 폭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는 2023년 기준 전국 광역시 중 4번째로 많은 것이다. 또한 대전시의 생활폐기물 매립..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