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열치열을 떠올릴 즈음에는 달력을 들여다보는 일도 잦아진다. 복날을 확인해 두려는 심사다. 복날은 초복, 중복, 말복의 삼복(三伏)을 일컫는 말로, 1년 중 날씨가 가장 더워지는 시기라 '삼복더위'라는 말로 알려져 있다.
선선한 기운이 여름의 더운 기운에 굴복한다는 뜻을 담고 있는 삼복에는 예로부터 더위를 잊기 위한 다양한 풍습이 행해졌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왕이 벼슬이 높은 신하들에게 장빙고(藏氷庫)의 귀한 얼음을 하사했다고 한다. 민간에서는 계곡에 발을 담그고 수분이 많은 수박과 참외를 먹으면서 더위를 식혔다고 전해진다. 특히 복날에는 삼계탕, 백숙과 같은 보양식을 먹었는데, 이는 열을 내는 닭과 인삼 등이 들어간 음식을 통해 땀으로 손실되는 수분과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삼계탕(參鷄湯)은 산업화가 시작된 1960년대 이후 복날 먹는 보양식으로 대중화되었다. 삼계탕은 어린 닭의 뱃속에 찹쌀, 인삼, 마늘, 대추 등을 넣고 물을 부어 푹 끓인 음식이다. 병아리보다 조금 큰 연계(軟鷄; 영계)를 흠씬 고아 낸 것은 '영계백숙'이라고 한다. 영계백숙에 인삼을 넣어 계삼탕이라고 불리던 것이 지금은 삼계탕으로 굳어졌다고 한다.
삼계탕이 복날 대표적인 보신 음식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쓰이는 재료도 다양해졌다. 치료용으로 쓰던 오골계(烏骨鷄)를 주재료로 쓰거나, 낙지나 전복과 같은 해산물을 넣어 보양의 효과를 극대화하기도 한다. 부재료도 각종 한약재며 녹두, 흑임자를 넣어 영양과 맛을 좋게 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찹쌀을 일부러 눌려서 고소한 풍미를 가미한 누룽지삼계탕이 각광받고 있다. 삼계탕 키트 상품이 늘고 있고, 수요가 많은 동남아시아로는 수출까지 한다는 소식이 들린다.
유교에서 이르는 오복(五福) 중 으뜸은 심신의 건강이 아니겠는가. 7월, 무더위로 짜증이 늘거나 몸이 축나기 쉽다. 열심히 땀 내고 이웃과 복달임 음식을 나누며 슬기롭고 화끈하게 한여름을 이겨내 보자!
박진희 명예기자(대한한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