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산다문화] 전통 의상, 문화적 자부심을 입다

  • 다문화신문
  • 논산

[논산다문화] 전통 의상, 문화적 자부심을 입다

전통 의상, 살아있는 문화유산으로 계승

  • 승인 2025-07-06 11:42
  • 신문게재 2024-12-08 12면
  • 충남다문화뉴스 기자충남다문화뉴스 기자
2-2
전통 의상은 각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상징물로, 그 나라의 역사와 미의식, 생활방식을 담고 있다. 한국의 한복과 캄보디아의 전통 의상은 각각의 독특한 아름다움과 의미를 지니며, 현대에도 여전히 문화적 자부심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한국의 전통 의상인 한복은 짧은 저고리와 풍성한 치마로 구성되며 화려한 색상과 곡선미를 강조한다. 오방색은 전통 한복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각각 방향과 계절, 오행을 상징한다. 남성 한복은 바지와 저고리, 마고자, 조끼, 두루마기로 구성되며 여성은 치마와 저고리 중심의 구성에 장신구를 더해 우아함을 더한다. 오늘날에는 전통 혼례나 명절, 문화행사에서 자주 착용되며 '생활한복'이라는 현대적 감각을 가미한 스타일도 유행하고 있다.

2-1
캄보디아의 전통 의상은 화려하면서도 섬세한 직조 기술이 돋보인다. 여성은 전통적으로 아오빡과 삼폿벳을 착용한다. 아오빡은 단정하고 단아한 디자인이 특징으로 얇고 부드러운 천으로 만들어져 밝고 은은한 색상을 주로 사용한다. 이는 여성의 우아하고 고운 자태를 자연스럽게 드러낸다. 삼폿벳은 앞부분을 여러 겹으로 정성스럽게 접어 입는 전통 치마로 섬세하고 정돈된 실루엣이 절제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특히 결혼식이나 전통 축제에서는 금실을 섞은 비단이나 수공예 직물을 사용해 고급스러움을 표현한다. 캄보디아 왕실 전통 의상은 색상과 장식, 장신구를 통해 착용자의 신분을 상징하며 종교 의식이나 무용 공연 등에서도 중요하게 사용된다.



전통 의상은 문화 정체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며 다양한 학술적 연구에서도 이러한 상징성을 강조해 왔다. 특히 캄보디아와 한국처럼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국가 간의 전통 의상 비교는 서로의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존중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전통 의상은 단순한 복식이 아닌 각국의 역사와 정신을 담고 있는 상징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며 글로벌 사회 속에서 조화롭게 공존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소비엣 명예기자(캄보디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2.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3.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4. 제80차 동구포럼 ‘생활인구 유입을 위한 소제동.원동 활용 방안 모색’
  5. 우울증 완화 위한 노인맞춤돌봄 특화서비스 자조모임
  1. 상가 공실 해소될까… 세종시 상가용도 추가 완화 나서
  2. 다시 살펴본 '어진·나성·대평동' 상권 공실, 심각 그 이상
  3. 연암대-㈜그린플러스 MOU 체결
  4. 천안시의회 복지문화위원회, 제주 워케이션 정책 벤치마킹
  5. 천안중앙도서관, '시니어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헤드라인 뉴스


대통령 방문에도 충청권은 빈손.... 실망감 커

대통령 방문에도 충청권은 빈손.... 실망감 커

이재명 대통령의 충청권 방문에 지역 현안 건의를 기대했지만, 개인 민원 소통 구간으로 전락하면서 지역 사회의 실망감이 커지고 있다. 해양수산부 이전 문제가 거론되기는 했지만, 정부의 입장만 되풀이 하는 등 심도 있는 대화는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전·충남 통합과 충청권메가시티, CTX(충청광역급행열차), 대전교도소 이전 등 지역 현안은 논의테이블에 오르지도 못했다. 이 대통령은 4일 대전DCC에서 '충청에서 듣다, 충청 타운홀 미팅'을 열고 지역 연구자, 창업가, 자영업자, 노동자 등 다양한 시민들과 마주 앉아 과학기술 정책의..

충청 보수야권, "행정수도 혜택? 이 대통령 충청인 농락"… 부글부글
충청 보수야권, "행정수도 혜택? 이 대통령 충청인 농락"… 부글부글

충청 보수야권이 4일 대전을 찾아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재확인한 이재명 대통령에게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과 함께 충청이 이미 행정수도 이전 혜택을 받았다는 이 대통령의 주장을 충청에 대한 철저한 배제, 행정수도 완성이란 국가적 약속을 뒤엎는 중대 사안으로 규정하고, 전면적인 투쟁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이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주제로 타운홀 미팅을 진행했다. 전날인 3일 취임 30일 첫 기자회견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재확인한 것을 넘어 충청..

벼랑 끝까지 몰린 충청 자영업자... 폐업자 수 7만 4000명 넘어섰다
벼랑 끝까지 몰린 충청 자영업자... 폐업자 수 7만 4000명 넘어섰다

2024년 충청권에서 폐업 신고를 한 사업자가 사상 처음으로 7만 4000명대를 넘어섰다. 폐업 사유를 사업 부진으로 답한 이들이 대다수인데,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위축으로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여과 없이 드러나고 있다. 6일 국세청 국세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개인·법인을 포함해 폐업 신고를 한 대전·세종·충남 사업자는 7만 4018명으로 집계됐다. 폐업자는 2020년 6만 4777명에서 2021년 6만 3543명, 2022년 6만 2710명으로 감소세를 보이다 2023년 들어 7만 1923명으로 7만 명대를 처음으로 돌파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시원한 물놀이로 무더위 날려요’ ‘시원한 물놀이로 무더위 날려요’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