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 칼럼] 대전·충남 문화도시의 새로운 모색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 칼럼] 대전·충남 문화도시의 새로운 모색

이희성 단국대 정책경영대학원 문화예술학과 교수

  • 승인 2025-06-18 17:12
  • 신문게재 2025-06-19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2025051401000875900038841
이희성 교수.
21세기 도시정책의 핵심은 경제 중심의 물리적 개발에서 벗어나, 지역의 고유한 문화자원을 중심으로 한 지속 가능한 발전에 있다. 이는 전 세계적인 흐름이며, 특히 한국의 '문화도시' 정책과 일본의 '창조도시' 전략은 문화가 지역의 생존 전략으로 작동하는 대표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두 모델은 각각 제도적 기반과 민간 중심의 유연한 네트워크라는 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문화가 가진 창조성과 공동체적 가치를 통해 도시를 회복시키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한국의 문화도시 정책은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 시행 이후 본격화되었다. 부천, 청주, 포항 등 다양한 도시들이 법정 문화도시로 지정되어 고유의 문화자산을 기반으로 도시 브랜드를형성하고, 시민이 주도하는 문화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반면 일본은 2004년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의 세계적 흐름에 발맞추어, 2013년 '창조도시네트워크 일본(CCNJ)'를출범시켰다. 이는 지방정부, 예술가, 대학, 시민 등이 협력하여 지역의 창조자원을 기반으로 도시의 재생과 성장을 이끄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요코하마시는 미디어아트, 가나자와시는 전통공예를 중심으로 문화와 산업, 관광이 결합된 창조도시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사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대전과 충남 지역은 각각의 정체성과 문화적 자산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새로운 문화도시 전략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먼저 대전은 국내 대표적인 과학기술 중심 도시로서 KAIST, 대덕연구단지, 국립중앙과학관 등 뛰어난 과학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산은 아직 시민의 문화 향유와 생활문화와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대전은 과학기술을 문화콘텐츠와 접목시켜 시민과 관광객이 체험할 수 있는 '과학문화도시'로 도약해야 한다.

한편 충남은 공주·부여의 백제문화, 천안의 독립운동 역사, 서산·태안의 해양생태문화 등 지역 간 이질적인 문화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성은 오히려 지역 간 문화 격차를 낳기도 한다. 이에 충남은 일본 창조도시 전략이 지닌 '지역 네트워크화'의 방식에서 배울 필요가 있다. 예컨대 공주-부여-논산 간 '백제문화벨트'를 구축하거나, 천안-홍성-서산 등 중소도시 간 생활문화 교류 플랫폼을 구성하여 광역 연계형 문화도시 모델을 추진할 수 있다. 또한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농촌지역에서는 공동체 기반의 생활문화센터나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문화향유의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대전과 충남은 각각 '과학'과 '기억'이라는 고유한 정체성을 바탕으로 문화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이 둘을 연결하는 광역 협력 모델이 더욱 강력한 문화 생태계를 형성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최근 강조하는 '대한민국 문화도시' 정책 또한 광역 단위의 네트워크와 권역 중심의 연계를 통해 문화균형발전을 실현하겠다는 방향성과 맞닿아 있다.

문화도시는 더 이상 상징적 명칭이 아니라 지역의 지속가능성과 경쟁력을 가늠하는 실질적 기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대전은 과학기술의 일상화를 통해 문화도시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충남은 지역 간 연계를 통해 '기억을 품은 생활문화도시'로 성장해야 한다. 양 지역은 각자의 전략을 독립적으로 추진함과 동시에, 충청권 전체가 하나의 문화권역으로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문화'는 도시의 과거를 기억하게 하고, 현재를 풍요롭게 하며, 미래를 지속 가능하게 만든다. 대전과 충남이 이러한 가치를 실현하는 문화도시로 도약하길 기대하며, 지역문화정책의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실천적 논의가 활발히 이어지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울공항 인근 도심 상공 전투기 곡예비행... 안전불감증 도마
  2.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3.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4.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5.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1.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2.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3.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4.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5.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