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스마트 교통체계 도입, 대중교통 확충, 도로 신호체계 개선 등 다양한 대응책을 추진 중이다. 최근 100개 도시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적응형 신호체계를 도입한 시범사업 결과, 교통 흐름이 평균 11% 개선됐고 탄소배출 절감 효과도 입증됐다.
베이징시는 2008년 올림픽을 계기로 도입한 '차량 끝번호제'를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이 제도는 차량 번호판의 끝자리 숫자에 따라 평일 운행을 제한하는 것으로,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요일별로 두 자리씩 운행을 금지한다.
예를 들어, 2025년 6월 30일부터 9월 28일까지 적용되는 제한안에 따르면, 월요일에는 차량번호 끝자리가 5 또는 0인 차량이, 화요일에는 1 또는 6인 차량이 운행을 제한받는다.
운행제한은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로 한정되며, 5환 도로 외 지역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공휴일과 주말은 제한 없이 차량 운행이 가능하다. 위반 시에는 200위안의 벌금과 벌점이 부과된다. 이 정책은 교통 혼잡 완화와 대기질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기차는 운행 제한 대상에서 제외된다. 베이징시는 친환경 차량 확대를 위한 우대 정책의 일환으로 전기차에 한해 운행 제한을 면제하고 있으며, 최근 전기차 번호판 발급 물량을 확대하는 등 보급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 정부는 2025년까지 전체 차량의 40%를 전기차로 전환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중국의 교통 정책은 단순한 도로 확장을 넘어,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교통 설계로 진화하고 있다. 베이징의 차량 운행 제한은 교통혼잡과 대기오염을 동시에 억제하려는 대표적인 행동기반 정책이며, 스마트 기술과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이 함께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시행 이후 여러 지표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2008년 제도 도입 직후, 베이징의 PM2.5 농도는 최대 40% 감소했으며, 차량 통행량은 20% 이상 줄어들고, 대중교통 이용률도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정책 초기에는 시민의 90% 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최근 들어 실효성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는 우려도 일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베이징시는 전기차 보급 확대, 데이터 기반의 교통통제 시스템 고도화 등 차세대 교통전략을 병행 추진하며, 정책의 지속가능성과 실효성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베이징뿐만 아니라 다른 대도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리메이펀 명예기자(중국)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