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여일반산업단지 조감도 |
부여일반산업단지는 단순한 산업 부지 조성을 넘어, 일자리 창출과 전략산업 유치를 연계한 자립형 경제도시 조성을 목표로 추진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특히, 지난해 12월 개통된 부여-평택 고속도로와 인접한 서부여IC를 통해 수도권과 1시간대 거리로 접근할 수 있어 기업 활동에 최적화된 교통·물류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중부권의 주요 도시인 세종시와 대전시까지도 40분 이내로 이동 가능해 우수한 광역 연계성을 갖추고 있다.
부여군은 산업단지 내에 배터리, 식품, 화학 등 총 10개 업종을 중심으로 전략산업 유치에 적극 나설 계획이며, 2026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분양을 진행할 예정이다. 입주기업에게는 지방세 감면, 기반시설 지원 및 맞춤형 행정서비스 등 다채로운 인센티브가 제공되어 기업 유치 경쟁력을 높일 방침이다.
특히 부여군은 입지 경쟁력과 원스톱 행정서비스, 세제 혜택 등을 전면에 내세워 전략적인 기업 유치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부여일반산업단지 조성이 완료되면 대규모 고용 창출 효과는 물론, 산업 생태계 강화, 청년 인구 유입 및 정주 여건 개선 등 다양한 지역균형발전 효과가 기대된다. 여기에 최근 부여군이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됨에 따라 산업단지와 연계한 외부 투자 유치가 활성화돼 지역 경제 성장의 시너지 효과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박정현 부여군수는 "부여일반산업단지는 단순한 개발 프로젝트를 넘어 부여군의 미래 산업 구조와 경제 환경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부여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선도하는 경제도시로 만들기 위해 기업 유치와 지원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부여일반산업단지 조성 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을 위한 실질적인 전략적 접근 사례다. 특히 교통과 물류 인프라를 강점으로 전략산업을 유치하여 기업 활동을 촉진하고, 지역 청년 인재 유입을 활성화하는 등 지역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앞으로 부여군의 산업단지 개발이 지역 균형 발전과 지속 가능한 성장의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 정책이 요구된다.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