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애 의원은 세이브더칠드런과 함께 지난 17일 오전 9시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보편적 출생등록 제도 도입을 촉구했다 .(사진= 임미애 의원실) |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 (비례)는 최근 '가족관계등록법'과 '출입국관리법'의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출생통보제 1주년을 맞아 국내에서 출생했지만 등록되지 못한 외국인 아동들을 조명하고 보편적 출생등록제를 도입하고자 '가족관계등록법', '출입국관리법' 개정안을 발의한 것이다.
2023년 감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출생이 등록되지 않은 외국인 아동은 4025명에 달한다.
집계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면 약 2만 명이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이처럼 출생등록이 되지 않은 아동들은 사회보험과 사회보장 혜택을 받지 못하고 신분 증명이 어려워 학교 입학, 병원 진료, 예방접종 등 일상생활 전반에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또 학대나 범죄의 표적이 될 위험도 높다.
임 의원이 발의한 가족관계등록법 개정안은 출생등록 대상을 대한민국 국민으로 한정하는 현행법에 외국인의 출생신고의 특례를 규정하는 내용으로, 대한민국에 부모의 본국 대사관이 없거나, 체류자격이 없어 본국 대사관에 출생신고를 할 수 없는 경우 등의 외국인에 대해서도 출생등록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출입국관리법 개정안은 출생신고 담당 공무원이 부모의 체류자격 문제를 인지하더라도 현행법에 따른 통보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수 있도록 예외를 규정하여 미등록 외국인 아동의 출생등록을 보장하는 내용이다. 이는 현행법이 대한민국에서 출생한 외국인은 부모의 본국에 출생신고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데, 부모의 체류자격이 문제가 있는 경우 신분이 드러날 것을 염려해 자녀의 출생신고를 하지 않을 경우가 있어 이를 보완하는 것이다.
임 의원은 "모든 아동은 '유엔(UN) 아동권리협약' 에 따라 출생 직후 등록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공적으로 증명받을 권리를 가진다" 며 "대한민국도 1991년 해당 협약을 비준한 국가로서 국내에서 출생한 외국인 아동의 권리와 복지를 보호해야 할 책무가 있다" 고 말했다.
한편 , 외국인 아동이 출생등록을 하더라도 한국 국적을 취득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은 속인주의를 채택하고 있어 출생지와 관계없이 아동은 부모의 국적을 따르는 것이 원칙이다. 출생신고와 국적 취득은 서로 다른 개념으로, 출생신고를 통한 신분등록을 한국에서 했다고 해서 아동에게 국적이 부여되지 않는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