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군 및 소방 인력들이 중장비를 이용해 피해 복구 작업<제공=산청군> |
지난 3월 대형산불의 흔적이 채 사라지기도 전, 산청군에 또다시 재난이 닥쳤다.
16일부터 20일까지 평균 632㎜ 폭우가 쏟아지며 13명이 숨지고 19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농작물 559㏊, 농경지 418㏊, 원예시설 208㏊가 물에 잠겼고 피해액은 4456억 원에 이르렀다.
![]() |
산청군 생비량면 상능마을<제공=산청군> |
군은 수마가 지나가자마자 응급복구에 돌입했다.
3만 9472명 인력과 굴삭기 4785대 등 총 6933대 장비가 투입됐다.
공무원 600명이 전 읍면으로 파견돼 도로·교량, 상수도 정비에 매달렸고, 군 예비비 115억 원과 특별교부세 10억 원이 긴급 투입됐다.
18개 대피소에는 구호키트와 급식이 전달되며 군민들의 최소한의 일상이 유지됐다.
◆심리 회복과 공동체의 힘
이번 복구는 물리적 수습에 그치지 않았다.
산청군 정신건강복지센터와 대한적십자사가 함께 재난심리상담소를 운영해 상실의 충격을 덜어냈다.
대피소와 마을마다 상담 인력이 찾아가 심리적 응급 처치를 진행했다.
폭염 속에서도 4만3260명 자원봉사자가 현장을 누비며 무너진 마을 빈자리를 메웠다.
![]() |
소방 인력들이 집중호우로 인한 실종자 수색<제공=산청군> |
응급복구율은 공공시설 기준 57.9%에 머무르고 있다.
농가 피해는 장기적인 복원이 불가피하며, 지역경제 타격도 이어질 전망이다.
자원봉사 중심의 초기 대응은 강점을 보였지만 수개월 뒤에도 같은 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체계는 여전히 과제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복구를 넘어 지역 재난관리 구조를 다시 설계해야 한다는 질문을 남긴다.
◆기후위기 시대의 경고
산불과 호우가 연달아 닥친 산청의 현실은 기후위기의 전조다.
기록적 강우량은 기존의 대응 체계를 넘어선 새로운 안전망을 요구한다.
단기 복구 뒤 이어질 재건 단계에서의 재정과 인력 계획 또한 촘촘한 설계가 필요하다.
![]() |
이승화 산청군수 재난상황본부서 군과 협력 상황판단회의<제공=산청군> |
이승화 군수는 "군민 일상을 하루빨리 되찾도록 행정력을 플러스알파로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그의 발걸음은 응급복구를 넘어 산청이라는 공동체의 생존 설계로 이어지고 있다.
산청의 강은 흙탕물을 품고도 다시 흐른다.
무너진 집터에도 새벽은 온다.
사람의 손이 다시 뿌리를 내릴 때, 산청의 일상은 계절을 맞을 준비를 한다.
산청=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