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싣는 순서>
① 부여군 학교 통폐합 가속화…지역교육 붕괴 우려 확산
② 학교 사라진 마을, 인구 감소·지역공동화 현실로... 1면 1개교 무너져
③ 교육계.지자체 그동안 뭐했나?... 특성화 학교 등 대안 마련해야
그동안 부여군에서 많은 학교가 통폐합됐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교육계와 지자체의 자구 노력은 미비했다는 지적이다. 학생 수에 비해 교직원이 많아 사실상 1대1 맞춤형 교육이 가능했음에도, 학력 증진이나 예체능 분야에서 뚜렷한 성과는 없었다. 단지 출생아 감소로 인한 자연적인 감소 현상으로만 여겨 무의식적으로 방치했다는 비판이다.
다른 지자체들도 출생아 수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엘리트 체육 육성이나 학교 특성화 등 다양한 자구책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수치만 봐도 차이는 명확하다. 충남도교육청이 발표한 2026년도 분교장 개편 대상 학교 현황을 보면, 천안·홍성·예산·태안이 각각 1곳이고 보령이 2곳인데 비해 부여군은 무려 4곳이 포함돼 있다.
특히 인근 청양군은 부여군 인구의 절반에도 못 미치지만, 한 학교에서 탁구부를 창단해 외지 학부모들의 대거 유입을 이끌어냈고, 뛰어난 성과까지 거두면서 폐교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한 모범 사례가 됐다.
반면 부여군은 통폐합 위기 학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25년 2개가 통합됐고, 2026년에만 4개교가 예정돼 있으며, 구룡초 등 인근 학교로의 연쇄적 위기 확산 가능성도 높다. 더 이상 아랫돌을 빼서 윗돌을 고이는 식의 임시방편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은 어렵다.
다행히 부여교육지원청이 구룡초와 내산초, 외산초의 위기의식을 갖고 지자체와 발 빠르게 대응하며 머리를 맞대고 있다는 점에서 희망이 있다. 당장 통합 대상 학교를 살려 시간을 벌고, 그 기간 내에 특성화 학교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지역의 특성을 활용한 농업교육, 생태 체험교육, 예술 및 체육 분야 특성화 프로그램 등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방법의 성공 열쇠는 부여군의 과감한 투자와 군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에 달려 있다. 부여군이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학교를 지역사회의 핵심으로 다시 세우기 위한 장기적인 대응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인다면, 부여교육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끝>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