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국외 안장 독립유공자 유해 안장식이 거행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
![]() |
김기주 지사의 여동생 김경남(94)옹 |
13일 머나먼 이국땅에 안장된 독립유공자 6명의 유해가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하는 안장식에 참석한 김기주(1924~2013) 지사의 여동생 김경남(94) 씨의 증언이다. 김기주 지사는 1940년대에 일본 군대에 강제로 징집된 후 중국 하남성 형문현에 주둔한 일본 군대에 배치됐으나, 조국을 위해 탈출을 감행했다. 중국 중앙군으로 들어가 중앙군 유격대에 배속되어 공작 활동하고 이후 중국 중경에서 주둔하고 있던 광복군 총사령부 산하 토교대에 입대해 광복군 일원으로 조선 독립을 위해 활동했다. 1971년 브라질의 초청을 받아 이주해 2013년 타계해 상파울루 묘지에 안장됐다. 국가보훈부는 지난해 브라질에 유족을 만나 김 지사 유해의 한국 봉환을 협의해 이날 대전현충원 묘역에 영면에 들었다. 김 지사의 아들과 딸 등 유족 6명이 브라질에서 이날 한국을 찾아와 안장식에 참여했다.
김경남(94)씨는 "중국 중경에서 독립운동을 마치고 귀국한 오빠가 독립운동 동료가 집을 구하지 못할 때 저희 집에 함께 머물고 식사를 챙기던 때가 엊그제처럼 기억난다"라며 "6·25전쟁 때도 대령 장교로 참전해 나라를 위해 헌신한 오빠가 자랑스럽고, 유해가 고국으로 돌아와 더는 여한이 없다"라고 밝혔다.
국가보훈부는 광복 8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오는 미국과 브라질, 캐나다 안장 독립유공자 6명에 대한 유해를 대전현충원에 안장했다. 의사상자 묘역 중 남은 부지를 활용해 특별묘역으로 새롭게 명명하고 이날부터 국외 안장 독립유공자의 봉환 유해를 안장한다. 문양목 지사의 유해는 출생지인 충남 태안 생가터 내의 추모 사당에서 기념사업회 회원, 태안군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제를 거행한 후 오후 6시께 대전현충원으로 봉송해 안장됐다.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을 대신해 장정교 국립대전현충원장은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고국으로 돌아오시는 여섯 분의 지사님께서 국민의 추모와 예우 속에 영면하실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며 "특히, 여섯 분의 독립유공자를 비롯한 선열들의 숭고한 독립정신을 알려 나가는 것은 물론, 국외 안장 독립유공자분들의 유해를 마지막 한 분까지 고국으로 모시는데 성심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 |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국외 안장 독립유공자 유해 안장식이 거행되고 있다.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