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준병 국회의원이 지난 19일 버섯생산자연홥회 간담회를 열고 있다./윤준병 사무실 제공 |
이 자리에는 전북 버섯 연구회 모준근 회장, 전북기술원 허병수 연구사와 정읍·고창의 버섯 농가 등 10여 명이 참석했다. 버섯생산자연합회 김민수 회장과 버섯재배 농업인들은 "현행법상 버섯재배용으로 사용한 후 배출되는 버섯 배지는 폐기물관리법상 폐기물에 해당되기 때문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버섯 농가가 별도의 폐기물 처리시설을 등록해야 하고 처리과정의 막대한 비용이 고스란히 농가의 몫"이라며 "버섯 배지를 폐기물관리법 대상에서 제외하기 위해 15년 전부터 정부에 (가칭) 버섯 산업발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등을 요구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며 윤 의원에게 제도개선과 법 제정에 힘을 보태달라고 요청했다.
![]() |
윤준병 국회의원이 지난 19일 버섯생산자연홥회 간담회를 열고 있다./윤준병 사무실 제공 |
또한 현행법은 동일한 버섯 배지 원료라도 사료용으로 수입하는 경우에는 사료관리법에 따라 폐기물에서 제외되나, 버섯 배지용으로 수입하면 폐기물로 분류되는 관리의 허점이 있어, 버섯발전법을 제정해 수입 버섯 배지 원료를 "농업용"으로 명확히 규정하고, 환경부 소관의 폐기물관리법이 아닌, 농식품부의 관리·감독을 받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윤 의원은 2021년에 벼를 도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왕겨와 쌀겨를 폐기물에서 제외해 별도의 폐기물 배출 신고 없이도 순환자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 사례를 소개하며 "배출되는 버섯 배지를 폐기물에서 제외한 후 순환자원으로 인정해 현장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며 "현재 추진되고 있는 버섯 산업발전법안이 발의되어 상임위에서 심사가 이뤄지면 꼭 통과될 수 있도록 최대한 협조하고, 버섯 산업의 발전을 위한 대안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윤준병 국회의원은 "버섯은 국민의 대표적인 건강식품이자 미래의 먹거리인 만큼 버섯 농가가 안정적으로 버섯의 생산 및 공급에 전념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 버섯 농가의 소득이 제고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읍·고창=전경열 기자 jgy36712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