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과기대 항공사진. |
![]() |
이효인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총장 |
대전과기대는 RISE 사업을 통해 '대전 밀착형 보건의료 융합 전문인력 특화 대학'이라는 비전을 수립하고, 지·산·학·연 협력 기반의 Human Care 현장 중심 인력 양성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대학은 산업체 수요를 반영한 협력 생태계를 구축하고, 대학 특성과 대전 지역 특화산업을 결합한 차별화된 교육·연구 모델을 발전시켜 왔다.
이를 위해 대학은 DST-EDGE(Leading Edge) 전략을 마련했다. 이 전략은 △대학 특화교육 강화 △지·산·학·연 협력 고도화 △직업·평생교육 확대 △지역 현안 해결 역량 강화 등 4대 핵심 과제로 구성돼 있다. 대학은 이를 기반으로 학생이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혁신하고 산학 공동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있다. 또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를 통해 학습 성과가 곧바로 지역 기여로 이어지는 구조를 만들고 있다. 특히 보건·의료·서비스 분야를 비롯해 지역 주력 산업과 연계한 실용 교육과 현장 맞춤형 훈련은 학생들의 취업 및 창업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전과기대는 '대전 특화산업을 이끌 인재 양성', '지·산·학·연 협력으로 혁신 생태계 조성', '평생교육과 정주 지원으로 지역 활력 제고'를 핵심 슬로건으로 제시한다. 이를 통해 학생에게는 학업에서 경력, 취업, 지역 정주로 이어지는 성장 경로를 제공하고, 지역에는 청년 인재 유입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실현하고 있다. 향후에는 ICC(Industry-Centered Cluster) 중심의 산학협력 고도화, 글로벌 교류 확대, 시민 대상 평생학습 프로그램 확충을 통해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지속 가능한 교육·산업·연구 생태계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대전과학기술대학교는 동시에 혁신지원사업을 통해 '무한가능성과 역동적 리더십으로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대학'이라는 또 다른 비전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혁신, 고등직업교육혁신, 산학·지역협력혁신, 자율혁신 등 4대 전략을 설정하고,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고등직업교육 혁신대학으로 도약하고 있다. 단순한 교육기관의 역할을 넘어, 미래사회의 요구에 부합하는 창의융합 인재 양성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혁신지원사업의 핵심은 DST FLEX 체제를 기반으로 디지털 전환 시대에 필요한 가치창출형 창의융합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생 선택권 및 지원체계 확대 △AI·디지털 융합 교육 강화 △맞춤형 진로·취업 지원 △산학연계 현장실습과 프로젝트 기반 교육 △사회적 가치 실현 및 성과 확산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AI·DX 융합 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에 집중하면서 교육 인프라 확충과 진로지원 체계 강화를 통해 학생들이 입학부터 졸업, 취업·창업까지 전 과정을 자기주도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아울러 성과 분석과 환류 체계를 강화해 교육 품질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했다.
이효인 대전과기대 총장은 "RISE 사업과 혁신지원사업은 단순한 재정 지원을 넘어 학생의 꿈을 실현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핵심 동력"이라며 "앞으로도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길러내는 고등직업교육 혁신 선도대학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