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령시 2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보령행상풍력 집적화단지 민관협의회 제 2차 회의를 진행했다.(보령시제공) |
장진원 보령 부시장 주재로 열린 이번 회의에는 정부위원, 민간위원, 공익위원 등 총 30명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보령해상풍력 및 녹도해상풍력 사업을 포함한 보령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추진 현황이 공유됐으며, 지정 신청을 위한 주요 안건들이 협의했다.
특히, 지난 1차 회의에서 위촉된 민관협의회 위원들은 공익위원 후보자를 검토하여 4명의 공익위원을 추가로 선정, 민관협의회 구성을 완료했다.
보령시는 해양수산부 및 산업통상자원부와의 협의를 거쳐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부터 지역 및 수산업 상생 방안, 사업화 방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민관협의회 위원들은 기후 위기 대응과 지역 산업 전환을 위한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에 공감하면서도, 세부 사업 내용 및 지역 상생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협의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보령시는 1.3GW급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을 통해 추가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를 확보, 지역 주민 및 어업인과의 이익 공유, 지역 개발, 상생을 위한 사업 추진에 활용할 방침이다.
또한, 수산업 클러스터 육성, 해상풍력 전문 인력 양성, 유지보수 일자리 창출과 연계한 해상풍력 전용(배후) 항만 조성 등 산업 생태계 구축도 함께 추진한다.
보령시는 2020년 11월부터 1기 및 2기 민관협의회를 운영하며 총 10차례의 회의를 통해 해상풍력 사업 계획에 대한 지역 주민과 어민들의 의견을 수렴해왔으며, 해상풍력 및 집적화단지 관련 각종 설명회, 간담회, 워크숍 등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장진원 부시장은 "집적화단지 신청은 탈석탄 지역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지역 및 수산업 상생 발전, 그리고 산업 재구조화를 위한 새로운 기회"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사업 구역 선정 등 단지 개발 기본 계획 수립 전반에 위원들과 어업인,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면서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보령시는 앞으로도 정기적인 민관협의회 등 다양한 협의체 운영을 통해 해상풍력 개발과 어업, 지역 사회가 조화를 이루는 지속 가능한 상생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며, 시는 올해 하반기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과 내년 상반기 지정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보령=김재수 기자 kjs03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