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남시청 전경 |
이번 심의는 지난해 9월 4일 최초 경관심의가 신청된 이후 건축물의 경관성 개선과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최초 본심의와 2차 심의 재검토 의결을 거쳐 22일 3차 심의에서 최종 조건부 의결했다.
이번 심의는 건물의 외형과 정면 디자인, 야간 경관 계획 등이 논의됐으며, 한국전력공사가 지난해 12월 보도자료 등을 통해 제시한 첫째 '주민 수용성 강화', 둘째 '120명 이상이 근무할 수 있는 사무실 조성', 셋째 '주민 편의시설을 포함한 복합사옥 건립' 등의 계획을 반영하는 조건으로 의결했다.
앞서 한전은 "보도자료를 통해 동서울 변환소를 동서울 전력지사·한전KPS 등 6개 유관기관 직원이 근무하는 업무 겸용 복합사옥으로 꾸미고 HVDC 엔지니어링센터와 연구·교육·전시 공간을 갖춘 '에너지 허브'를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주요 전력 설비를 건물 안으로 이전해 소음 문제를 해결하고, 외관 디자인에는 주민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시는 그동안 지역주민 대표로 구성된 민관협치위원회에서 변전소 관계자 감일총연합회, 시민, 비상대책위원회, 유관단체장이 참여한 가운데 3차례의 논의 등을 거쳐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어 7월에는 서울 신양재 변전소, 경기 평택 고덕 변전소, 하남 감일 동서울변전소 등 3곳을 직접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비상대책위원회에서는 시에 산업 통산 자원부 면담을 요청해 면담을 주선했다.
이와 관련 한전은 "국토교통부 경관심의 운영지침에 '주민 의견 수렴'이 포함되지 않았다"며, "시가 근거 없는 조건을 달아 사업을 고의적으로 지연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대해 시는 "경관심의는 관련 법과 규정에 따라 전문가들이 판단하는 절차이며, 대규모 기피시설이 설치됨에 따라 주민생활의 큰 영향을 미치는 사안으로 작년 7월 공식 주민설명회가 무산된 이후 추가적인 주민 설명회도 없이 진행되고 있어, 주민 의견을 반영하는 것은 지자체의 당연한 책무"라고 밝혔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