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촌면행정복지센터가 주민총회를 열고 2006년 주요 사업을 확정했다.(초촌면 주민자치회 제공) |
총회는 '주민이 스스로 마을의 주인이 되어 지역 문제를 해결한다'는 취지로 진행됐으며, 자유로운 토론과 표결을 통해 총 9건의 사업계획이 최종 채택됐다. 확정된 사업은 ▲추양리 솔밭 황톳길 조성 ▲송국리 유적지 정비 추진 ▲유휴시설 활용 귀농·귀촌 유도 ▲건평~소사리 산책로 가로등 설치 ▲초촌면민의 날 개최 ▲초촌 저수지 관리 ▲경로잔치 개최 ▲환경개선 간담회 개최 ▲추양리 정자 보도 정비 등이다.
이번에 논의된 안건들은 주민 생활과 밀접히 연관된 안전, 환경, 문화, 공동체 활성화 전반을 포괄한다. 특히 송국리 유적지 정비 사업은 역사·문화적 가치를 높이고, 귀농·귀촌 유도 사업은 인구문제 해결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김현종 초촌면장은 "총회를 통해 함께 논의하고, 함께 결정하고, 함께 실천하는 주민자치의 소중한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행정에서도 채택된 안건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정복회 주민자치회장도 "다양한 의견이 모여 채택된 사업들이 주민 삶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초촌면 주민자치회는 지난해 제2회 주민총회에서 확정된 사업들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응평천 산책길 600m 구간에 안전등을 설치해 주민 보행 안전을 확보하고, 환경 간담회를 통해 공기질 개선과 악취 문제 해결에 앞장서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
초촌면 주민총회는 단순한 주민 참여 행사가 아니라 지역 자치의 실질적 거버넌스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주민들이 직접 지역 현안을 발굴하고 의결해 생활 밀착형 정책을 만들어가는 과정은 '풀뿌리 민주주의'의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특히 역사 문화자산 보존, 귀농·귀촌 지원 등은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미래 전략과도 맞닿아 있어, 주민자치회의 성과가 향후 충남형 지역발전 모델로 확산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