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비수도권 전공의 복귀율 53%… "진료 비상체계 벗어나기 어려워"

  • 사회/교육
  • 건강/의료

하반기 비수도권 전공의 복귀율 53%… "진료 비상체계 벗어나기 어려워"

전국 수련병원 정원 1만 3498명중 59.1%인 7984명 선발
산부인과 27.6%·흉부외과 4.9%… 지방 필수과목 인력난
대전권 수련병원 “비상진료 지원 중단땐 의료공백 불가피”

  • 승인 2025-09-02 18:12
  • 신문게재 2025-09-03 6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PYH2025090113660006400_P4
1일 오전 복귀 전공의가 충북대학교병원 1층에서 가운을 벗고 있다. 충북대병원의 레지던트와 인턴 등 전공의 92명은 이날 하반기 수련을 재개했다.  (사진=연합뉴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예상대로 비수도권 수련병원이 모집인원의 절반을 조금 넘는 턱걸이 수준에서 전공의 복귀가 마무리됐다. 필수진료 과목에서 복귀율은 30%를 밑돌고 있는데, 중증응급환자 비상진료 유지를 위한 건강보험 지원마저 중단되는 게 아닐지 우려된다.

2일 보건복지부와 수련환경평가위원회에 따르면 2025년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 결과, 인턴과 레지던트 등 전공의 총 7984명이 선발됐다. 전국 수련병원이 뽑기로 한 정원 1만 3498명의 59.1% 수준이다. 의과대학에 진학해 일반 의사 면허를 취득한 후 인턴 1년, 레지던트 3∼4년의 전공의 수련을 거쳐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다.

지역별로 선발 인원 비율은 수도권 수련병원이 63%였으나, 비수도권 수련병원은 53.5%로 절반을 조금 넘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에서 동일하게 복귀율 90%를 넘긴 진료과는 정신건강의학과와 안과였고, 마취통증의학과와 성형외과, 이비인후과, 정형외과, 피부과에서도 80%대를 웃돌았다. 반대로 소아청소년과와 병리과, 가정의학과에서 복귀율이 유독 낮았다.



특히, 산부인과는 수도권 수련병원에서 정원대비 전공의 58%가 복귀했으나 지방 수련병원에서는 27.6%만 복귀했다. 또 심장혈관흉부외과의 경우 수도권에서 모집인원 128명 중 42명(32.8%)을 선발했으나, 지방 수련병원에서는 같은 진료과목임에도 모집인원 82명 중 선발된 인원은 4명(4.9%)에 그쳤다. 정형외과와 진단검사의학과, 피부과에서는 비수도권 수련병원 복귀율이 수도권보다 높았다. 이번 하반기 선발 인원과 기존에 수련 중인 인원을 포함한 전체 전공의 규모는 총 1만305명으로, 의정갈등 이전의 예년 대비 76.2% 수준을 회복했다.

대전권 수련병원에서는 전공의 복귀율이 예상을 밑돌고, 그동안 비상진료 유지를 위해 실시하던 건강보험 지원마저 중단되는 게 아닐지 우려하고 있다. 2024년 2월 정부는 의사 집단행동 대비 중증응급환자 비상진료 유지를 위해 응급실 전문의진찰료를 100% 인상하고 경증환자 회송 수가 30% 인상, 입원전담전문의 업무 제한 완화 등을 시행해 주로 중증환자를 담당하는 수련병원을 지원해왔다.

대전 수련병원 응급의학과 한 전문의는 "전공의가 복귀했다지만 수도권보다 적게 돌아왔고 소위 필수 진료과에서는 복귀한 비율이 얼마되지 않는데 단순히 비상진료 유지를 위한 지원을 중단하는 방향으로 가서는 안 된다"며 "진료 비상체계를 벗어날 수준이 못 되고, 복귀율 낮은 수련병원이 그나마 비상진료를 이어갈 수 있도록 수도권과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의 '극지연구소'는 부산 이전 불발...세종시는?
  2.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3.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1. [2026 수시특집-나섬이가 소개하는배재대] 장학금 받고 유학 가고… 공부는 ‘카공족’ 공간에서
  2. 집현동 테크밸리, 나성·어진·대평동 공실 지역 연계 필요
  3. 서천 호우주의보 발효…충남 남부 중심 매우 강한 비
  4.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게임 좋아하던 중학생, 게임 개발자가 되다
  5.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헤드라인 뉴스


2차 민생 소비쿠폰, 재산 12억원·금융소득 2천만원 이상은 제외

2차 민생 소비쿠폰, 재산 12억원·금융소득 2천만원 이상은 제외

9월 22일부터 지급할 예정인 제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서 고액 자산가를 제외하고 가구별 특성을 적용하기로 했다. 또 사용처를 생활협동조합 등으로 확대하고, 군 장병이 근무지 인근에서 쓸 수 있는 선불카드를 지급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은 2일 국회에서 행안위 당정 협의를 열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행안위 여당 간사인 윤건영 의원은 협의 후 브리핑을 통해 “2차 소비쿠폰 지급과 관련, 2021년 국민지원금 지급 당시와 마찬가지로 가구별 건강보험료를..

해수부 내년 예산 `7조원대` 진입… 부산 이전비는 322억원
해수부 내년 예산 '7조원대' 진입… 부산 이전비는 322억원

해양수산부의 부산시 이전에 필요한 비용이 322억 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2026년 해양수산부 전체 예산안 7조 3279억 원의 약 4.4%를 차지한다. 예산 총액은 전년의 6조 7816억 원보다 8.1%(5471억 원) 증가한 규모다.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2일 이 같은 편성안을 공표했다. 예산 증가의 초점은 북극항로 시대 주도, 해양수산 전 분야 AX(인공지능 전환) 지원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기후 위기 대응 사업 예산에 맞췄다. 역시나 가장 관심을 끄는 대목은 신규 예산으로 편성된 해수부 부산 이전 비용 322..

지자체 곳간 3곳 중 1곳 `저금리 방치`
지자체 곳간 3곳 중 1곳 '저금리 방치'

전국 지방자치단체 3곳 중 1곳이 기준금리(2.5%)보다 낮은 금리로 은행 금고에 여유자금을 맡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전과 세종은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평균 이자율이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 을)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43개 지자체 금고 예치금은 95조 9844억 원, 이자수입은 2조 8925억 원으로 집계됐다. 평균 이자율은 2.87%로 기준금리 2.5%를 약간 웃돌았다. 그러나 79개 지자체는 여전히 기준금리에도 도달하지 못..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