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첫째, '국적·체류자격'을 확인하라. 한국 건강보험은 외국인도 6개월 이상 체류 시 지역가입이 가능하지만, 무심코 가입을 미루면 추후 민영보험 가입 때 병력 공백이 생긴다. 가족 전원이 동일 자격으로 편입돼야 보험료 산정도 유리하다.
둘째, '언어·문화 장벽'을 낮춰라. 약관과 보험금 청구 앱이 다국어를 지원하는지 체크하고, 필요하면 통역 서비스를 갖춘 설계사를 선택한다. 언어가 통하면 청구 속도와 분쟁 예방 효과가 뚜렷하다.
셋째, '공공보험+민영보험'의 적정 비율을 계산하라. 건강보험과 산재·고용보험으로 의료·소득 위험을 최소화한 뒤 라이프스타일 맞춤형 상품을 구성하라.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볼 때 보험료 납입은 월 소득의 1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권한다.
넷째, '해외리스크'를 반영하라. 본국 부모 부양, 역이주 계획이 있다면 해외 의료비 담보, 송금 수수료 우대, 상해사망 글로벌 특약을 포함해야 한다. 글로벌 CI(치명적 질병) 상품은 진단금의 절반까지 외화로 수령할 수 있다.
다섯째, '디지털 활용도'를 점검하라. AI 고객관리 플랫폼 '커넥트리', 알람 기능 '김비서 콜'을 활용하면 납입·계약 변경 시점을 놓치지 않는다. 모바일 청구만으로도 평균 3일 빠르게 보험금을 받는 사례가 많다. 비대면 청구 확대 추세를 감안하면 디지털 역량이 곧 비용 절감이다.
보험은 '혹시 모를' 대비가 아닌, 가족의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재무 전략이다. 가정마다 대화를 거쳐 우선순위를 정하고, 설계사는 그 과정의 통역자이자 가이드가 돼야 한다. 이 다섯 가지 기준을 체크리스트 삼아, 모든 다문화 가족이 위험 앞에서 평등한 안전을 누리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